제1부 이단의 정체성과 성경의 경고
제1장 이단의 정의와 성장 원인
기독교는 계시의 종교다. 기독교는 신앙과 생활을 계시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 성경에 근거를 둔다는 뜻이다. 그런데 특별한 계시로서의 성경이 신앙과 생활의 근거가 된다는 것은 성경이 틀림 없는 진리이기 때문이다(마 5:17; 눅 24:27; 요 5:39; 히 10:7). 그것은 성경만이 구속자로 하나님을 계시해 주는(딛 2:11-13) 구원의 메시지이며(행 4:12; 롬 10:9) 신자들을 위한 규범으로 쓰여졌기 때문이다(엡 2:20; 딤후 3:16).①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유일한 절대 진리이지만 사람의 말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처음 성령의 영감으로 성경을 기록한 저자들은 그 시대의 사람들이었다. 그러므로 성경은 그들이 처했던 역사적 상황이나 종교, 문화, 정치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용했던 언어의 산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성경은 해석이 필요하며, 그 해석은 본문에 충실할 뿐 아니라 역사적 배경과 시대가 사용했던 언어의 문법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성경 해석자는 설령 그런 능력을 지녔다 하더라도 성경을 완전히 알고 무오하게 해석할 수는 없으므로 겸손해야 한다. 성경 해석자는 성경의 참 저자이신 성령의 도움을 구해야 하며, 앞서 성경을 해석했던 경건한 선배 스승들의 해석을 참고해야 한다. 그런데 종종 특별한 계시를 받았다며 성경 해석의 원리를 무시하고 개인이나 단체의 이익을 위해 성경을 잘못 해석하고 적용하는 분파나 이단의 오류가 상존한다. 이런 이단의 잘못된 교훈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교회를 어지럽히며 영혼까지 망하게 한다(벧후 2:1).
그러므로 교회는 항상 이단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되며 바른 신앙의 기본이 되는 성경의 진리를 가르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1. 이단이란 무엇인가?
이단이라는 말은 헬라어 ‘하이레시스(hairesis)’에서 유래되었으며,‘음흉한 당파’라는 뜻을 가진다. 초대교회의 교인들에게 이단이라는 말은 거짓 믿음에서 나온 분리 또는 파당이라는 의미였다(고전 11:19; 갈 5:20).②
파당의 실례를 따른 정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선택: 레위기 22장 28, 21절(LXX)에서는 선택이라는 말이 자원 예물을 의미했다.
2) 선택된 견해: 그 예는 베드로후서 2장 1절이며 거짓 교훈으로 인한 파괴적인 견해들이다.
3) 당파나 분파(어떤 견해들을 지닌): 신약에서 ⑴사두개인들이나 바리새인들(행 5:17; 15:5), ⑵기독교인들(행 24:14; 28:22) 그리고 ⑶기독교 안에서의 분파나 당파(고전 11:19; 갈 5:20에서는 편당과 동의어로 거짓스승에 대해서보다는 사랑의 결핍이나 지나친 자기 주장으로 인한 기독교 공동체안에서의 분열).
이처럼 이단이라는 말은 선택과 선택된 견해, 파당처럼 폭넓게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로마 가톨릭의 교리에서는 편당(사랑의 결핍으로 인한 불일치)과 배교(기독교의 포기) 사이를 구분한다. 이단은 세례 받은 로마 가톨릭 신자가 믿는 거짓된 교리이거나(formal), 로마 가톨릭 신자가 아닌 사람들이 무지로 주장하는 거짓된 교리(material)다.③
그런데 이단이란 말이 분파나 파당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면, 이단은 사이비종파(cult)와 연관이 깊다. 물론 사이비 종파라고 할 때 그 정의는 그 접근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사이비 종교를 연구하는 이들은 아래의 세 가지 방법을 취한다.
1) 일반적인 방법: 신문에 기고된 기사들에 근거하며 대체로 사이비 종교의 극적이며 기괴한 측면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④
2) 사회학적 정의: 사이비 종교들이 지니는 독단적, 사기적, 전체주의적 그리고 종종 자치적인 특징들이 포함된다.
3) 신학적인 정의: 정통주의적인 어떤 기준을 지닌다.
신학적으로 사이비 종교는 그 조직에서 구별되며 주요한 가톨릭 및 개신교 교단들에 의해 대표되는 전통적 기독교의 성경적 교리들과 관습들, 즉 사도신경처럼 진술된 교리와 관행들에 모순되는 모든 종교 운동이다.⑤
고든 루이스(Gordon R. Lewis)는 사교란 그리스도와 성경에 의하여 인정함을 받은 단체라고 주장하나, 구세주와 성경의 중심 교훈인 복음을 등한시하거나 잘못 설명하는 종교 단체를 가리킨다고 했다. 그는 이어서 이단(사교)은 하나의 종교 운동이며 그리스도와 성경이 지지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성경을 인용하지만 기독교의 핵심은 놓쳐 버린다고 했다.⑥
마틴(Walter Martin)은 근본적인 성경적 교리를 부인하거나 잘못 해석하는 지도자나 그 교훈의 주변에 모여든 성격상 종교적인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대부분의 이단은 한 사람의 지도자나 지도자의 후계자가 있으며, 그들의 음성이 지상에서 하나님의 음성이고 성경보다 더 큰 권위를 주장한다. 이단은 성경과 조화된다고 주장하지만 성경에서 소개된 기본적인 교리들의 하나나 그 이상을 부인한다.⑦
맥도웰(Josh McDowell)과 스튜어트(Don Stewart)는 이단은 항상 성경에서 가르치는 기독교의 중심 교리를 부인하는 고립된 지도자의 세계관 위에 그들의 믿음을 기초하고 있는 사람들의 그룹이라고 정의했다.⑧
이상의 정의들이 보여 주고 있듯이, 이단들은 진정한 기독교라고 주장하지만 성경이 가르치는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부인하거나 잘못 해석하며 잘못된 성경관과 해석관을 지닌 지도자나 집단을 따르는 무리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이단의 어의적인 설명에서 이단 혹은 분파에 대한 견해가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분파란 말을 로마 가톨릭에서 쓸 때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구별되는 교파와 대등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런 경향은 로마 가톨릭의 주장 - 로마 가톨릭 교회만이 참된 교회이며 그렇게 부를 권리가 있다 - 에 따른 결과다. 그러나 개신교에서 이단적인 분파를 말할 때, 그것은 복음주의적인 그룹으로 볼 수 없는 분파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복음적인 기본 원리로서 그리스도의 신성과 그의 속죄를 견지하고 있지 않은 교회나 기독교를 말한다.
이 책에서 필자는 이단의 신학적인 정의에 따라 성경에 근거한 역사적이며 전통적인 기독교의 교리에 반하는 이단들의 주장과 교리와 신학 그리고 관행을 비판했다.
<주>
1. Norman Geisler, Systematic Theology, Vol. 1(Minneapolis: Bethany, 2002), 69-70.
2. Harold O. J. Brown, 〃Heresies〃, 라은성역(서울: 그리심, 2001), 39.
3. M.R.W. Farrer, "Heresy", Baker's Dictionary of Theology(Grand Rapids: Baker, 1969), 268.
4. 탁명환의 「기독교 이단 연구」(서울: 국제 신흥 종교문제연구소, 1986) 및 <현대종교>는 주로 일반적인 사회학적인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이단 종파의 교주에 대한 비리나 그밖의 기괴한 행동에 관한 정보가 풍부하다.
5. James W. Sire, Scripture Twesting(Downer Grove: IVP, 1980), 20.
6. Gordon R. Lewis, Confronting the Cult, 김진홍역(서울: 한국개혁주의 신행협회, 1988), 9-11.
7. Walter Martin, The New Cults (Ventura: Regal Books, 1980), 16.
8. Josh McDowell & Don Stewart, The Deceivers(San Bernardino: Here‘s Life, 199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