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된 자들아 이와 같이 지식을 따라 너희 아내와 동거하고 저는 더 연약한 그릇이요 또 생명의 은혜를 유업으로 함께 받을 자로 알아 귀히 여기라 이는 너희 기도가 막히지 아니하게 하려 함이라" (벧전 3:7)
베드로전서 3:6의 불신 남편에게 복종의 미덕으로 그를 구원하라는 권면과 본문은 연관이 없다. 본문은 신앙인 남편에게 주시는 말씀이다. 그러면 여기서 아내는 어떤 점에서 약한 그릇인가? 이 말은 아내를 비하시키는 말이 아닌가? 이 말 속에는 아내의 열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왜 아내를 귀히 여기지 않으면 기도가 막힌다고 했는가? 먼저 본문에 나오는 그릇이란 말부터 생각해 보자. 그릇은 여러 가지 의미로 쓰였다. 1. 도구로서 사람(인격)(행 9:15) 2. 영의 그릇으로서 몸(Hermas: Man 5.1) 3. 예레미야 18:1-11의 토기장이 비유에 의한 구약과 유대주의에서 공통적인 의미는 피조물로서 사람을 가리켰고, 4. 랍비의 작품들에서는 아내를 그릇으로 썼다. 베드로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의미로 아내를 생각했을 것(살전 4:4; 딤후 2:20-21; 롬 9:21-23).1)
다음으로 약한 그릇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여기서 아내가 약한 그릇이나 약한 피조물이라고 할 때 그 의미는 부정적으로 지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또는 영적으로 약하다는 뜻이 아니다(롬 5:6, 모든 사람은 다 도덕적으로 연약하다, 또 롬 14:1, 양심에서도 여자가 더 연약하다고 하지 않았다). 긍정적으로 이 말은 여자가 남자보다 육신적으로 연약하다는 뜻이요 감정적으로 연약하다는 것이다. 남자가 여자보다 일반적으로 크고 힘이 세며 여자가 결혼 생활에서 남자보다 더 쉽게 상처받기가 쉽다. 더구나 사회적으로 여자는 이혼 등의 법에서 남자보다 불리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사실상 오늘날도 여러 가지 면에서 불리한 입장에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더 연약하다는 말을 단지 육신적이나 감정이나 사회 문화적인 불리한 입장만으로 볼 것이 아니다. 여자가 연약하다는 것은 결혼에 대한 권위의 용어로 볼 수 있다(3:1, 5-6). 그러므로 베드로는 이기적인 목적을 위해 권위를 오용하지 말고 아내를 존귀하게 하는데 사용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그래서 감정적으로 보다 더 예민한 아내에게 비판이나 싸움의 관계 대신에 존중하며 지식을 따라 함께 살라 하였다.2)
그러면 이렇게 살지 않을 때 기도가 막히는 이유가 무엇인가? 신약성경은 다른 사람과 불화한 관계가 기도 생활을 방해할 것을 가르치는 구절들이 있다(마 5:23; 6:12, 14-15; 고전 11:33-34; 약 4:3). 이것이 사실이라면 하물며 남편의 학대로 인해 하나님께 호소하는 아내를 둔 남편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들으시겠는가? 설사 아내가 호소하거나 불평을 안 한다 해도 하나님께서 그녀의 눈물을 보시지 않겠는가? 하나님은 긍휼과 공의의 하나님이 아니신가? 그가 약자와 압제받는 자의 편이 되시지 않겠는가? 마태복음 18:19-20에 너희 중 두 사람이 땅에서 합심하여 무엇이든지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저희를 위하여 이루게 하시리라 하시지 않았는가? 그러므로 남편과 아내의 합심한 기도를 들어 주실 것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부부가 불화할 때 그 기도가 응답되겠는가? 여기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베드로 사도는 여자의 연약성을 결코 여자의 열등함의 의미에서 쓰고 있지 않다. 그는 우리 모든 크리스천 남편들에게 지식을 따라 동거하며 귀히 여기라는 명령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크게 보아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1. 우리 사회가 그렇게 인식하지 못할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아내를 남편과 함께 생명의 유업을 함께 받을 자로 동 등하게 보신다는 것이요, 2. 남편의 아내와의 관계를 바로 정립하지 못하게 되면 하나님과의 관계도 손상이 되어 그의 기도가 막힌다는 사 실이다.3) 아내를 사랑하지 않는 남편의 기도는 하나님께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 소리 이상이 아닐 것 이다.
주 1. Peter H. Davids, The First Epistle of Peter, pp.120-121 2. Wayne Grudem, I Peter, p.144 3. Peter H. Davids, More Hard Sayings of the New Testament, pp.162-16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