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와 벨리알이 어찌 조화되며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가 어찌 상관하며" (고후 6:15) 베리알이란 말의 히브리어의 뜻은 사악함으로 자주 악한 사람에 대한 다른 표현에 사용되었다( 베리알의 사람, 베리알의 아들들). 일반적으로 이 말은 사탄이나 어두운 세력의 주장으로 나타난다. 베리알은 마침내 사탄과 동일시되었고 그 두 이름들은 후대 묵시문학에서 서로 교대해서 사용되었다(이사야의 승천). 따라서 베리알은 신약에서 사탄과 동의어가 되었다고 한다(G.R. Diver).1) 그런데 랍비들은 이 말을 하나님의 멍에를 벗어버린 자나 멍에가 없는 자로 보고 통제가 불가능한 불법자로 해석하였다. 히브리 어 베리(לꔳ)는 없이란 뜻이고 알( )은 멍에란 뜻이다. 제롬(Jerome)은 베리알은 반역, 불법, 방종으로 설명하였다. 또 어근 알라( )를 더해서(오르다), 상승이 없다는 뜻으로 성품의 저하나 타락으로 보았다. 그러나 보다 더 일반적으로는 베리를 이윤을 본다, 이익을 본다는 어근( )과 연결지어 무가치하다는 뜻으로 본다.2) 구약성경에서 히브리 어 성경에는 베리알이란 말이 27회 나온다(시 18:5-6; 삼하 22:5-6; 시 41:9; 잠 6:12; 삼하 16:7; 12:5; 잠 19:28; 삿 19:22; 20:13; 왕상 21:10-13; 삼상 10:27; 삼하 20:1; 삼하 23:6; 시 101:3). 구약에서 이 말은 다른 신을 경배하도록 이스라엘을 타락시키는 악한 자를 가리켰다. 다시 말해서 베리알의 아들들은 야웨를 알지 못하는 엘리의 악한 아들들로 기술했다(신 13:14; 삼상 2:12). 신약에서는 놀랍게도 단 한 번만 나온다. 여기서 빛의 하나님과 대조되는 어두움의 세력이 베리알이므로 그 용어와 개념을 쿰란(Qumran)이나 유대 기독교의 어떤 다른 형태에서 바울의 취해 온 것으로 보기도 한다(kummel).3) 그러면 이 구절에서 베리알은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어떤 학자들은 여기서 베리알은 적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한다(Bengel, Lietzmann). 이 경우에 사탄의 이름으로 인식된 그 시대의 베리알이기보다는 사탄의 정신으로 움직이고 있는 적그리스도다. 여기서 바울은 선과 악의 싸우고 있는 세력의 머리를 대조시키고 있다.4) 벨리알의 사용에 대한 바울의 의도가 무엇이었든지 간에 그리스도와 대조되는 악한 세력을 소개하면서 그것이 불신, 악, 타락, 어두움, 무가치함, 그 무엇이든지 신자는 함께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신자와 그런 것들과 교제하고 함께하면 그것이 바로 베리알의 행위요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것이 된다. 그것은 사무엘상 2:12에서 여호와를 알지 못했던 엘리의 악한 두 아들들의 행위와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은 한마디로 불량자들이었다.
주 1. C.K. Barrett,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Peabody: Hendriksen, 1973), p.198 2. Philip E. Hughes,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p.249 3. Theolord J. Lewis, Belial, The Achor Bible Dictionary, Vol.1, pp.654-656 4. A.T. Robertson,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Vol.IV, p.2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