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는 택하심을 받은 부녀와 그의 자녀에게 편지하노니 내가 참으로 사랑하는 자요 나 뿐아니라 진리를 아는 모든 자도 그리하는 것은" (요이 1절) 사도 요한은 여기서 자신을 사도 대신 장로로 부르면서 사랑하는 부녀와 그 자녀에게 편지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본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여기 택하심을 입은 부녀가 누구냐에 있다. 그녀가 개인이냐 그렇지 않으면 그룹이냐? 왜 장로는 한 부녀에게 편지를 하는가? 이 부녀와 장로는 무슨 관계가 있는가? 만일 여기 부녀가 개인이라면 교회 안에서 여성의 지도력과 연관이 있는가?
택하심을 입은 부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해석이 있다.
1. 초기의 주석가들은 택함 받은 부녀를 이 편지를 받은 여성의 이름으로 보았다. 이 경우에 그녀의 이름은 에렉 타(Electa, 롬 16:13에서처럼)요 두 번째는 퀴리아였다(Kyria 헬라 문헌에 나오는데 마르다라는 아람 이름에 대 한 헬라어 이름이다). 어떤 학자들은 그녀의 이름을 위의 둘을 합한 에렉타 퀴리아(Electa Kyria)로 생각한다. 그 런데 여기서 택함받은 부녀를 개인으로 보고 개인의 이름으로 볼 때 헬라어에 정관사가 없으므로 개인의 이름 에 적합치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정관사 없는 단어의 결합이 기독교적 예의를 갖춘 자연스런 표현이라고 주장 하는 학자가 있기는 하다Brooke). 여하튼 개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견해는 그녀가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라고 보기도 하며(요 19:27 아시아 의 전통) 마르다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순전히 추측에 불과하다.1) 2. 비록 그녀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교회의 어떤 여성 지도자를 가리킨다고 본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본문에서 저자도 이름을 밝힘이 없이 장로라고만 자신을 소개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이 여성은 적어 도 가정 교회의 지도자이거나 요한2서가 쓰여졌던 당시에 어느 도시의 교회 지도자였겠다. 이 견해가 가능성 이 있는 것은 뵈뵈같은 이나(롬 16:1-2) 유오디아와 순두게(빌 4:2) 같은 이가 그런 능력으로 사역했으리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이론은 요한 2서 13절에 너희 택함 받은 부녀들이란 말처럼 그 말의 의미 결 정이 역사적 가능성에 따라서가 아니라 이 특수한 편지의 문맥에 의존한다.2) 3. 마지막 해석은 여기 여인은 교회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본서가 개인이나 어느 가정을 향한 서신이 아니라 하나의 공동체와 그 공동체의 문제점에 대해 쓰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1) 1-3, 13절의 말은 한 개인 을 위한 것이기 보다 한 교회를 위한 것으로가 더 적합하다.(2) 4, 5, 8, 10, 12, 13절에서 단수와 복수간에 서로 바꿔 쓰고 있으며 (3) 예수님이 그의 제자들에게 주신 새 명령에 대한 5절의 언급이 마음속에 한 회중을 두고 있 음을 가정하게 한다(Brooke).3)
여성은 종종 교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의인화하여 쓰였다. 여성은 보편적인 교회던지(엡 5:22-23; 계 21:9) 지역 교회를 가리켰다. 구약성경에서 이스라엘은 이제 처녀요 시온의 딸이요(사 52:2; 사 47:1; 겔 16:7) 겸손했고(사 62:45; 렘 2:2) 어머니요(사 54:1; 갈 4:26) 이제 과부라 하였다(사 54:4; 애가 1:1). 고린도 교회는 신부로서 남편 그리스도께 약혼하였다(고후 11:2). 또 다른 교회는 베드로에 의해 선택된 바벨론에 있는 여자로 서술하였다(벧전 5:13). 이 바벨론은 아마도 로마일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택함 받은 부녀는 아시아의 교회 중에 하나로 그녀의 자녀들은 그 교회의 일원들이며 택함 받은 자매(13절)는 요한이 쓰고 있던 이웃 교회요 그 자매의 자녀(13절)는 그 일원이다.4) 택함(선택)은 크리스천에 대한 공통적 묘사였다(롬 8:33; 벧전 1:1; 사 42:1). 그렇다면 왜 여기서 그 교회의 이름(부녀)을 밝히지 않고 다만 택함 받은 부녀라고만 했는가? 초대 교인들은 1세기의 중반에 극렬한 박해를 받았다. 그런 이유로 저자는 교회를 위한 명칭에 무명을 씀으로써 수신자들을 보호하려고 하였다(C.H. Dodd).5)
주 1. John R.W. Stott, The Letter of John, p.203 2. Peter H. Davids, More Hard Sayings of the New Testament, p.222 3. Stephen S. Smalley, 1, 2, 3 John, p.318 4. John R.W. Stott, Op. cit., pp.204-205 5. Simon J, Kistemaker, James and I-III John, p.37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