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시험을 받을 때에 내가 하나님께 시험을 받는다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악에게 시험을 받지도 아니하시고 친히 아무도 시험하지 아니하시느니라" (약 1:13)
이 말씀은 우리의 신앙과 체험 모두에 모순처럼 들린다. 하나님이 하나님이시라면 모든 일이 다 그분의 통제 아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을 신앙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시험도 여기 포함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실제로 구약성경은 하나님이 시험하셨다는 말씀이 여러 곳에 나온다. 아브라함을 시험하셔서 독자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고 명령하셨고(창 22:12) 이스라엘 백성을 이방 족속 가운데 두심으로 시험하셨다(삿 2:22). 또 히스기야 왕을 시험하사 그가 바벨론 사절들을 영접하면서 그 자신의 계략에 빠지도록 내버려두었다(대하 32:31). 또 욥을 사단이 시험할 때에도 하나님의 허락이 없이는 불가능하지 않았는가?(욥 1장) 이렇게 볼 때 하나님이 사람을 시험하신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본문은 하나님은 친히 아무도 시험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면 어느 것이 옳은가? 성경은 서로 모순인가? 하나님이 시험을 하신다고 했을 경우 그 시험과 하나님이 시험을 안 하신다고 했을 경우의 시험은 차이가 있는 것인가? 우선 야고보 사도는 이 문제에 대해 하나님은 악에 대해 책임이 없으시다고 대답한다( :13-16). 이렇게 대답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주권이나 시험을 핑계 삼아 그들의 도덕적 실패의 책임을 자신이 지는 대신 하나님께로 전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런 죄의 성향은 우리 첫 조상 아브라함이 선악과를 따먹은 첫 번째 죄를 지은 후에 한 행동에서 쉽게 읽을 수 있다. "아담이 가로되 하나님이 주셔서 나와 함께 하신 여자 그가 그 나무 실과를 내게 주므로 내가 먹었나이다".(창 3:12) 그리고 이런 아담의 죄에 대한 책임 전가의 경향은 그의 모든 후손들이 물려받게 되었다. 이 본문이 기록되던 당시 이런 경향은 모든 사건의 원인을 직접 하나님께 돌렸던 히브리인의 전통을 이어 받은 유대인 신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졌던 것 같다. 야고보 사도는 본문을 통해서 이런 잘못을 바로잡으려 하였다. 그래서 사람이 시험을 받을 때에 내가 하나님께 시험을 받는다 하지 말라고 하였다(13절 상반절). 이어서 야고보 사도는 하나님께서 시험에 의한 죄나 실패나 악에 대한 비난을 받지 말아야 할 이유를 제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본성이 악으로 시험하실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3절 하반절). 이 말을 알포드(Alford)는 하나님은 악에 밝지 않으시다로 번역하였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은 악에 대한 경험이 없으시며 악에 대해서 자유하시다는 것이다. 또 이 말의 뜻은 하나님은 범죄로 어떤 자극을 받으시는 분이 아니시며 완전히 충분하시다는 말이다. 시험은 우리의 필요와 욕망에 호소하며 그것들을 만족하게 하는 약속을 제시한다. 반면에 하나님은 그런 충족이 필요한 분이 아니시다. 그의 행복은 완전하시며 절대적이시다. 이런 하나님의 충족성은 그가 시험을 하시는 것은 물론 시험을 받으시기도 불가능하시다.1)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성품상 시험을 하시지도 않으시고 시험을 받지도 않으신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시험하신다고 한 성경은 어떻게 되는가? 그 말씀은 모순이고 잘못인가? 그렇지 않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신앙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 그의 종들을 시험하시거나 입증(Prove)하실 것이다. 그러나 결코 죄를 권유하시거나 그들의 신앙을 파괴하시지는 않으신다.2) 그러므로 선한 의미에서 하나님은 시험하시나 악한 의미에서는 결코 시험하지 아니하신다는 뜻이다. 만일 하나님이 시험을 하신다면 어떻게 사람이 그것을 저항하겠는가? 만일 하나님이 죄에 빠지거나 악에 빠지는 시험을 하신다면 어떻게 시험에 들게 마옵시고 악에서 구원해 달라고 기도할 수 있겠는가?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악으로 시험하시기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절대적으로 악에게 무감동하시기 때문이다(Mayer).3) 그러므로 죄를 짓게 만드는 시험은 하나님께로서가 아니라 사단에게서 온 것이다. 시험 때 우리는 하나님께 성실해야 하며 시험의 배후에 있는 사단을 저항해야 한다(4:7). 그리고 시험 때 자신의 욕망을 제어해야 하며 견고하게 서서 과감하게 대적하므로 시험을 이겨 승리하게 될 것이다.
주 1. Curtis Vaughan, A Study Guide, James(Grand Rapids: Zondervan, 1969), pp.29-30 2. Douglas J. Moo, James(IVP. 1988), p.72 3. James Adamson, The Epistle of James(Eerdmans, 1979), p.7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