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만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약 1:2) 시험이나 시련 자체가 즐거울 리 없다. 악한 의미의 시험이 아니라 선한 의미의 시험이나 테스트도 기뻐할 사람은 없다. 학생들이 시험만 없다면 더 공부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도 이해가 간다. 그런데 이 본문에서 야고보는 여러 가지 시험을 만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하였다. 그러면 여기서 시험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어떻게 신자는 시험에 기뻐할 수 있는가? 시험 때 온전히 기쁘게 여기란 말씀은 학대를 쾌감으로 느끼며 살아가라는 말씀인가? 먼저, 여기 나오는 시험이 어떤 것인지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여기 시험이나 시련이란 헬라 말은 신약에서 두 가지 기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디모데전서 6:9대로 내적인 것으로 죄에 의해 유혹을 가리켰을 수 있다. “부하려 하는 자들은 시험과 올무와 여러 가지 어리석고 해로운 정욕에 떨어지나니 곧 사람으로 침륜과 멸망에 빠지게 하는 것이라”. 다음으로, 이 말은 외적 시련 특별히 박해를 가리켰다(벧전 4:12). 그리고 몇몇 구절은 두 가지의 의미를 다 포함하였다(마 26:41).1) 이 본문에서는 여러 가지 시험이라고 하였으니 그 시험이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을 다 망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시험을 만나거나 시련을 당해서 기뻐하라는 권면은 본문이 유일한 구절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마서 5:3-5 고난 중에 기뻐한다 하였고 베드로전서 1:6, 7에서는 여러 가지 시험으로 오히려 크게 기뻐한다 하였다. 그러면 신자는 시험과 시련, 박해와 핍박을 즐거워하란 말인가? 신자는 이 세상에서 학대를 쾌감으로 느끼는 피학대 음란증 환자라도 되라는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한마디로 `아니오' 이다. 신자에게도 시험이나 시련, 고통이나 박해는 하나도 즐거운 것이 아니다. 그것 자체는 사실 다 나쁜 것이다. 그런 모든 것은 사실상 죄의 결과가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여기서는 시험이나 박해를 기대하고 바라라는 말씀은 아니다. 여기 여러 가지 시험을 만난다고 했는데 그 만난다는 말은 빠진다는 말이지 기다렸다가 맞이한다는 뜻이 아니다. 예를 들어 질병(약 5:14)이나 재정적인 손실(약 1:9), 그리고 사회적, 경제적 박해(약 2:6)에 빠지게 되는 것을 가리킨다. 또 누가복음 10:30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이야기처럼 강도 만난 가련한 사람을 가리킨다.2) 그러므로 신자는 여러 가지 시험을 기다렸다 당하면서 그 시련을 즐기는 사람이 아니다. 마지막으로 그러면 어떻게 즐겁지 않은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면서 기뻐할 수 있는가? 그것은 이 본문이나 다른 성경구절에서도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본문에 의하면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므로 온전히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련 때 우리가 하나님의 이런 선하신 목적이 있음을 알고 그 목적을 실현하려고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시련을 기쁨으로 대처해야만 한다. 이렇게 이 서신의 두 가지 주된 사상은 여러 가지 시련을 인내하는데 대한 상급이다.3) 따라서 여기서 기쁨은 연습 시간의 운동선수와도 같은 기쁨이라 할 수 있다. 육상 선수는 큰 게임에서 승리를 내다보고 날마다 달리기의 어려운 고통을 참고 인내한다. 좋은 결과를 기대해서 기쁘게 참는 것이다. 오늘의 고통 속에서 성실하면 내일의 영원한 상급을 얻는다. 이것은 마치 예수님께서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않으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신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마태복음 5:11-12에서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인 있다 하셨다.4) 그러므로 신자가 세상에서 환난 중에 기뻐하는 것은 환난 자체를 즐기거나 시련의 고통을 즐기는 학대에서 쾌감을 느끼는 환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시련과 환난을 통과한 후에 있을 신앙의 성숙, 신앙의 인격 그리고 주님 앞에 서서 받게 될 상급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주 1. Douglas J. Moo, James(IVP. 1988), p.59 2.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New Testament(Victor Books, 1983), p.820 3. James Adamson, The Epistle of James(Grand Rapids: Eerdmans, 1979), p.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