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보좌에 둘려 이십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옷을 입고 머리에 금면류관을 쓰고 앉았더라" (계 4:4)
하나님의 보좌를 둘러서 24 보좌들이 있는데 거기 흰옷을 입고 금면류관을 쓴 24장로들이 앉아 있다. 이것은 하나님 앞에서 예배하는 천상의 장면을 보여준다(계 5:14; 11:16; 19:4). 이 광경에 대한 설명이 5:5과 7:13에 있다. 그러면 여기 보좌에 앉은 24장로들은 누구인가? 그 해석은 역사적 해석파와 과거해석파 그리고 미래해석파와 영적인 해석파 간에 차이가 있다. 물론 이렇게 분류하는 자체가 문제가 없지 않겠으나 특성상 그렇게 나눈 것은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우선 24장로는 누구를 가리켰는지에 대한 견해들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1. 24는 거룩한 수 12의 배수이며 이는 개략적인 수로 아마도 완전을 의미할 것이다(Ginzberg). 2. 브올의 범죄에 대한 견해로 역병에 죽은 24,000명을 위한 속죄로서 화목제를 위한 24마리의 황소를 가리킨다(민 24:3; 31:16; 신 4:3; 수 22:17). 3. 제사장의 보수로서 24개의 선물. 4. 성경의 24권의 책 5. 24명의 제사장들로서 항상 성전에 입참해 있는 레위인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수 6. 남북으로의 왕국 분열로 제사장들과 지파의 수뇌인 장로의 수가 배가 됐다(D.N. Freedman) 7. 바벨론의 다신론의 24별신들의 유대적인 짝 8. 아론 제사장직의 24반열에 대한 상징(대상 24:5)
그러나 이 모든 해석 중에 가장 오래된 해석은 여기 장로들은 마지막 상태에 대한 기대에서 하늘에 있는 이상적인 교회를 묘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24란 수는12족장들과 12사도들을 묘사하며 이것은 구약과 신약 모두의 교회이다. 그 이상적인 모습은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에서 잠재적으로 실현된다(엡 2:6).1) 다른 하나의 해석은 4:1에 이리로 올라오라는 소명에 대한 요한의 반응과 함께 휴거된 교회를 묘사한다는 것이다. 이 교회는 그리스도의 의의 흰옷을 입고 승리의 왕관을 쓴 것에서 보이며(딤후 4:8) 보좌에 앉아 있는 것은 그들의 행함에 대한 보상일 것이다(고전 3:14). 그러나 이 해석은 문맥상으로 볼 때 장로가 이상적이거나 휴거된 교회를 묘사한 증거가 없다. 또 장로들 중에 한 사람은 천사의 역할을 하고 있어서(7:13-14) 구속받은 자에 적합하지가 않다.2) 근래에 학자들이 선호하는 해석이 있다. 그것은 24장로들은 24명의 제사장들과 24 레위의 반열에 대한 하늘의 짝으로서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하는 높아진 천사적인 계급일 것이다(대상 24:4; 25:9-13). 그들의 역할은 충성과 제사와 아마도 재판에 관한 것일 것이다(참고, 20:4). 그들의 흰옷은 거룩을 그리고 그들의 금면류관은 충성을 말씀할 것이다(계 14:14).3) 그러나 24장로들이 높아진 천사를 가리킨다는 해석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1. 천사들은 결코 보좌에 앉은 적이 없다. 그들은 하나님을 섬김으로 서 있다. 2. 그들에게 면류관이 언급된 적이 없다. 3. 장로들의 호칭은 천사들을 위한 것과 병행되지 않는다. 4. 요한계시록 19:4에서 그들은 천사들일 수 없으며 특별히 그들이 구속되었다면 사람이어야 한다(Michi).4)
위에서 보듯이 24장로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건전한 해석만을 본대도 제사장의 24반열에 대한 상징이다. 왕 같은 제사장직의 회중 다시 말해서 교회를 가리킨다. 높아진 천사의 계급이다. 그러나 모든 해석의 공통점은 그것이 이스라엘의 지파와 제사장의 반열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신약시대의 12사도와 구속받은 성도의 무리인 교회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천사로 보는 해석보다는 구약과 신약시대를 통틀어 구속받은 성도들을 대표할 것이다(Hendriksen, Hailey, Hobbg, Wiilcock).5) 하늘의 예배에서 구속받은 성도들이 제외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으며 천사보다는 구속의 은혜를 입은 신자들의 감격과 감사가 앞서야 할 것은 너무도 당연하겠기 때문이다. 주 1. J. Massyngberde Ford, Revelation(New York: Doubleday, 1975), pp.72-73 2. Gerge E. Ladd, A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of John(Grand Rapids: Eerdmans, 1972), p.74 3. Robert H. Mounce, The Book of Revelation(Grand Rapids: Eerdmans, 1977), p.136 4. J.M. Ford, Ibid., p.72 5. Stone Gregg, Revelation(Nashville: Thomas Nelson, 1997), p.8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