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골라당은 누구를 가리키는가?
RevSuh  2008-08-18 10:46:30 hit: 5,814


    "오직 네게 이것이 있으니 네가 니골라당의 행위를 미워하는도다 나도 이것을 미워하노라"    (계 2:6, 15)

                      
요한계시록은 많은 상징과 형상 및 환상이 나온다. 그뿐 아니라 생소한 이름도 나오는데 그 중에 하나가 니골라당이다.
  
그러면 니골라당은 누구를 가리키는가? 그들은 어떤 신앙과 의식을 가지고 있었는가? 왜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행위를 미워하셨는가?
  
초대 교회의 교부들은 여기 니골라당을 유대주의로 개종한 7집사 중 한 사람이었던 안디옥의 니골라를 따르는 사람들로 생각하였다(행 6:5).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한 증거는 없다.
  
다음으로 니골라당에 대한 헬라어의 어의를 살린 해석이 있는데  니고는 정복한다(승리한다)는 말이며 나오스는 백성이란 뜻이다. 따라서 백성을 정복한다는 뜻으로 발전하는 성직에 편승하여 평신도를 억압한 그룹이었을 것이라 한다. 그러나 이런 견해는 아직도 성직이 계급제의 성격을 띄기 이전이므로 타당성이 없다.1)
  
셋째로 나도 그 행위를 미워한다고 하신 말씀에서 우리는 그 행위가 혐오스럽고 부정한 것임을 상상할 수 있다(사 61:8; 렘 44:4; 암 5:21; 슥 8:17).2)  이 경우에 2:14-15은 그들의 교리가 발람의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스라엘 백성으로 우상에게 바쳤던 제물을 먹고 간음을 하도록 영향을 주었다(계 2:14-15).3)
  
이렇게 볼 때 니골라당은 이교 제사나 자유 분방한 사랑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해서 기독교인의 행동에 완전한 자유를 주장한 방종한 분파였다.4)  또 황제 숭배와 연관을 지어볼 때 그리스도인으로서 아직도 황제의 형상에 향을 태우므로 황제에게 헌신을 보여주고 있는 사람들이다(William. M. Ransay).5)  맥케이(W.M. Mackay)는 니골라당은 기독교의 이단 분파로서 우상 숭배와 교회 안에서 요구되는 사상과 행위에 반대되는 부도덕한 이교적 행동을 지닌 자들이라 보았다. 넓게 말해서 니골라당은 그들의 살던 이교 사회와 타협하므로 혼합적 이교 사회의 한 부분이 된 자들을 가리켰다고 보겠다.6)
  
그 밖에 초기 교부들은 제3세기 그노시스파 중에 니골라파가 속해 있었다고 보았다(이래니어스, 알렉산드리아외 클레멘드 그리고 터틀리안 등이다).7) 유세비우스에 의하면 이 파는 잠시만 지속되었다(Ecclesiastical History, 3,29.1).
  
이상의 견해들을 종합해 볼 때 니골라당의 특성은 우상 숭배와 사교적 간음 그리고 기독교 신앙의 혼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본문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교회 안에 니골라당은 초대 교회 이래로 지속적으로 존재해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의 이단 제파는 사실상 이들의 변형에 불과한 것이다. 문선명씨의 한국산 이단 통일교나 박태선씨의 전도관을 보라. 오늘의 우상 황금(사업) 중시의 경향은 사도 요한 당시 산업 조합을 연상하게 하며 그들이 사업상 성을 사용했듯이 이들도 성적인 죄관과 구원관(피가름)을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서 자신을 재림 주요 감람나무로 높여 신처럼 섬기게 한 점에서 1세기말의 교회나 20세기말의 교회나 그 위기와 문제점을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하겠다. 오늘 우리 교회는 비기독교적 인본주의의 산물인 문화와 타협하지 말고 구별되어야 할 것이다.

   주
   1. Peter H. Davids, More Hard Sayings of the New Testament,  p.250
   2. John F. Walvoord,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p.58
   3. The Zondervan Pictorial Bible Dictionary,  p.586
   4. John F. Walvoord, Ibid.,
   5. Alan F. Johnson, Revelation(E.B.C. Vol. 12), p.435
   6. Robert E. Mounce, The Book of Revelation, p.89
   7. The Zondervan Pictorial Bible Dictionary,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