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데 인 중에 어떤 선지자가 말하되 그레데 인들은 항상 거짓말장이이며 악한 짐승이며 배만 위하는 게으름쟁이라 하니 이 증거가 참되도다...." (딛 1:12-13)
본문 말씀은 누구도 쉽게 진리로 받아드리기 어려울 것이다. 아무리 진실하지 못한 사람이라도 어떻게 항상 거짓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레데는 지중해 동편에 위치한 섬으로 디도가 지도자로 그곳 교회 중 한 곳에서 섬겼다. 바울은 저들 교회들에게 장로를 택할 때 책망할 것이 없는 신앙의 인격자로 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혹시 전반적인 그레데 인의 습성이 거짓되었다고 해도 신자들은 그렇지 않지 않았겠나? 그런데 바울은 그 말이 참되다고 확증하고 있다(13절). 이 본문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가 이 말을 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바울은 여기서 그레데 인 중에 어떤 선지자가 이 말을 했다고 하였다. 그가 누구인가? 많은 학자들은 그가 바로 그레데의 에피메니데스(Epimenides. B.C. 630-500).라고 생각한다.1) 그는 고대 세계의 7대 지혜인 중에 하나로 인정받았다. 예를 들면 그들은 피레네의 바이아스(Bias) 스파르타의 킬론(Chilon), 린더스의 크레오볼러스(Cleobulus), 미라이레데의 피타커스(Pittacus), 밀레도의 탈레스(Thales), 그레데의 에페메네데스였다(Plutarch, Lives, Solon XII, 4 - 6, Clement of Alexandria, Stromata I, XIV).2) 그런데 그가 선지자라고 한 것은 이방 세계에서 신들의 대변자란 뜻이요 성경적 의미에서 선지자라는 의미가 아니다. 그는 푸라톤(PLATON)에 의해서도 신의 영감을 받은 자요 신들에게 절친한 사람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므로 바울은 여기서 그레데 인들이 인정하는 선지자 에피메네데스의 책 중에서 한 구절을 인용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그의 말은 당시에 하나의 격언처럼 통용되었으므로 바울이 그의 책을 구체적으로 읽었어야 할 이유는 없었다. 그러면 그레데 인은 항상 거짓말쟁이라는 에피메네데스의 판단이 나오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 그레데 인들은 헬라의 많은 신 중에서 수위의 신인 제우스의 무덤이 그들의 섬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신으로서 제우스는 죽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그 제우스신의 무덤이 우리 섬에 있다고 주장하는 저들은 거짓말쟁이라는 것이었다.3) 그러나 실제로 그레데 인은 성실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교의 도덕가들은 그레데 인은 시실리인과 가파도기아인과 함께 사악하기 그지없는 악인들로 분류하였다. 그래서 거짓말하는 사람을 크레티제인(Χρήτίξεν)이라 불렀는데 이 말이 바로 그레데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니까 그레데 인이 된다는 동사는 거짓말하는 사람이 된다는 뜻이었다.4) 그런데 여기서 바울은 그레데에서 좋지 않은 경험을 하게 되어 그 판단이 옳았음을 확신했던 것 같다.5) 그러면 바울 사도는 여기서 그레데 인은 정말 언제나 거짓말쟁이라고 말씀한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그것은 앞서 밝혔듯이 에피메네데스의 말을 인용했을 뿐 절대적인 의미로 쓴 것은 아니다. 바울은 그레데 교회의 회중 중에 많은 고상한 신자가 있었지만 거짓 스승들이 이런 그레데 인의 경향이 있었음을 단언한 것이다.6) 여기서 그레데 인들과 그의 선지자 에피메네데스는 다같이 모순에 빠진다. 저들은 그들에 대한 에피메네데스의 판단의 진실성을 받아들이거나 혹은 그 비난을 부인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선지자가 거짓말쟁이라고 낙인 찍어야 한다.7)
주 1. 여기 인용 구절은 6세기의 철학자 Epimenides에게서 왔다고 생각하나 어떤 학자들은 그 인용절이 카리마커스(Callimachus)의 Hymn to Zeus (B.C. 270년경)에 나오기 때문에 카리마커스의 것으로 돌리기도 한다. 그러나 Lock 같은 이는 그 찬가가 카리마커스 이전에 있었을 것으로 생각 한다. Donald Guthrie, The Pastoral Epistles, p.188 2. Williams Hendriksen, Timothy and Titus, pp.352-353 3. M.T. Brauch, Hard Sayings of Paul. p.274 4. 박윤선, 바울서신, p.579 5. D. Edond Hiebert, Titus(E.B.C. Vol. 11), p.433 6.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New Testament, p.763 7. D. Edmond Hiebert, Ibi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