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역대하 16:1(아사 왕 36년)은 열왕기상 16:8(엘라가 아사 26년에 다스리기를 시작했다)과 조화될 수 있는가?
RevSuh  2008-07-31 17:53:40 hit: 1,586

     "아사 왕 삼십 육년에 이스라엘 왕 바아사가 유다를 치러 올라와서 라마를 건축하여 사람을 유다 왕 아사에게 왕래하지 못하게 하려 한지라"  
                                                (대하 16:1)

앞에 두 장에서 아사 왕의 두 가지 개혁과 놀라운 승리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는데 여기 16장에서는 그의 말년에 범한 신앙의 이탈에 대한 일련의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스라엘과의 관계(1-9절), 선지자 하나니와 그의 다른 백성들과의 관계(10절) 그리고 그의 마지막 병에 관한 것이다(:11-14).
  
그런데 여기 아사 왕 36년이라면 주전 895년이었으며 이때 유다는 이스라엘 왕 바아사의 공격에 직면해 있었다. 바아사는 여로보암 1세의 왕조를 전복시키고 왕권을 찬탈한 후 909년에서 886년까지 에브라임에서 다스렸다(왕상 15:27-29, 33).  그는 지속적으로 유다 왕 아사를 대적했으며(왕상 15:10) 아마도 그의 많은 백성이 유다 왕에게 돌아간 것 때문이었던 것 같다. 그는 아사에게서 그의 백성을 차단시키기 위해서 벧엘을 점령하고 라마를 요새화 했는데 그곳은 팔레스틴 중앙 능선을 따라 나 있던 주요 북-남의 큰 도로상에 위치해 있었다. 그곳은 예루살렘의 북쪽에서 단지 5마일 상에 있었다(1).  이 라마는 일반적으로 엘람(er-Ram)과 동일시되고 있다(2).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아사가 주전 911년에 즉위했다면 그의 통치 제36년은 주전 876년이나 875년에 되었을 것이다. 그는 41년 동안 다스렸다(왕상 15:10).  따라서 바아사는 주전 909-886년까지를 다스렸다.  만일 아사 36년에 바아사가 라마를 건축했다면 그것은 그가 죽은 지 11년 후(875)가 되고 만다.  그러니 모순이 아닌가?

이 문제에 대해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 분열된 왕조의 연대를 위한 수백 가지 자료 중에서 이 본문의 것은 분열에서부터 날짜를 기록한 유일한 경우이다.  그것은 이 구절에 유일하기 때문에 그 사건에 호소하기 위한 특별한 변호의 실례가 될 수  있다.

  2. 그것은 이 사건이 아사 통치의 35년과 36년에 있었다는 본문의 명백한 언급을 무시한다(3).

  3. 칼일(Keil)은 역대하 16:1의 36이라는 숫자와 15:19의 35란 숫자는 각각 16과 15를 복사자가 잘못 베낀 것이라고 보는 쪽을 택한다.  만약 대본이 단어의 수를 완전히 기록해 놓았다면 그런 오류는 발생할 수가 없다.  그러나 만약 그 숫자가 히브리 알파벳 형태의 숫자 표시법에 의하여 기록되었다면 16은 쉽게 36으로 혼동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전 7세기까지는 글자 요드(Yod=10)가 라멛(Lamed=30)과   매우 유사했기 때문이었다.  두 글자는 직선으로 내려 그은 중심선 왼쪽에 붙은 작은 두개의 획의 차이 뿐이었다(이 실수가 앞에 위치한 기록의 역대하 15:19에서 처음으로 발생했을 수 있다. 그래서 원래의 5가 35로 잘못 복사되었다). 그 다음에 16:1에서는 이것과 통일시키기 위하여 같은 서기관(혹은 후기의 서기관)이 16은 36의 실
수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서 자기의 복사판에서는 그것을 36으로 고쳤을 것이다(4).

  4. 풀(Matthew Poole)은 당시의 연대 기록이 왕의 통치 초기부터 계산하기도 했고 통치 기간 중 특별한 사건을 염두에 두고 기록하기도 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그 기록 연대가 어느 시점에서부터였느냐로 차이가 있을 수 있었다는 해석이다(5).

  5. 티레(Thicle)는 바아사가 아사 26년에 죽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원문은 이렇게 읽었으리라고 보았다.  5년과 30년에(즉 왕국의) 즉 아사 통치 15년
     에..... 6년과 30년에 즉 아사 16년에(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pp. 57-60)(6).

성경에서 왕의 연대에 대한 차이는 원문의 복사 과정에서 부주의한 실수로 있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런 적은 실수가 성경의 내용을 오도할 수는 없다.  우리는 이런 경우 그 연관 구절과의 비교와 나가서 역사적 사실을 관찰함으로 원래의 정확한 연대를 추적해 낼 수 있다.

   주
   1. J. Barton Payne, 1, 2 Chronicles(Grand Rapids: Zondervan, 1988), pp.489-490
   2. Raymond B. Dillard, 2 Chronicles(Waco: Word, 1987), p.125
   3. Ibid.,
   4. 글리슨 아쳐, 성경 난제 백과사전(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p.305
   5. Matthew Poole, Commentary on the Holy Bible(London: Banner, 1968), p.836
   6. The New Bible Commentary, Revised(London: IVP, 1970), p.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