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다메섹의 서너 가지 죄로 인하여 내가 그 벌을 돌이키지 아니하리니 이는 저희가 철 타작기로 타작하듯 길르앗을 압박하였음이라" (암 1:3) 이 말씀은 이스라엘의 이웃 나라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다. 여기 다메섹은 아람의 수도로 이스라엘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었고 아람 사람들은 자주 이스라엘의 가장 강력한 원수로 등장했었다. 길르앗은 다메섹의 남쪽 요단강 동편에 있던 지역으로 삼림이 풍부했고(렘 22:6-7) 향유의 산지로(렘 8:22) 아람의 세력 확장을 위해 긴요한 곳이었다. 영토의 분쟁은 어느 시대나 흔했으나 이스라엘과 아람간에는 주전 9세기와 8세기에 더 심했다. 길르앗은 아람과 접경 지역인데다 그 산물의 풍요함 때문에 아람만 아니라 암몬이나 수리아와 같은 인접 국가의 공격도 자주 받게 되었다. 아람은 길르앗을 정복한 후 많은 길르앗 사람들을 잔인하게 다뤘다. 70인 역본과 아모스서의 쿰란 단편들에는 길르앗의 임신부들이 아람인의 희생자였다. 저들은 비인간적인 취급을 당했다(1:13).1) 철 타작기로 타작하듯 했다는 것은 극단적인 잔인성과 지속성 그리고 부드러움 없는 잔인한 행동을 연상케 한다. 따라서 저들의 죄가 반복되고 넘쳤으므로 하나님의 심판은 돌이키지 않을 것이다. 이제 다메섹의 서너 가지 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서너 가지란 말은 셈어 문학에서 공통적이다. 그것은 주로 지혜 문학에서 나오나(예. 욥 5:19; 33:29; 잠 6:16; 30:15-31; 전 11:2) 역시 선지자 미가도 썼다(5:5-6). 이 말은 저자가 언급한 요인들의 수와 같이 최종적인 수로 문자적으로 취하기도 하며(예, 잠 6:16-19), 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불명확한 수를 가리키기도 한다(미 5:5-6)이 예언(암 1:3)에서는 다메섹의 죄를 하나만 언급했으므로 불명확한 수로 쓰였다.2) 여기 서너 가지 죄는 셋에다가 네 가지 죄를 더 했다고 보는 이들이 있다. 이 경우에 3이란 숫자도 완전수인데 거기 4를 더했으니 7이 되므로 죄가 가득한 상태를 가리킨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아주 많은 죄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서너 가지 죄는 셋에 네 가지 다른 죄들을 더했다고 보기보다는 전자의 죄에 하나를 더한다는 표현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이 경우에도 그 앞에 죄는 이 마지막 죄에 의해서 그 정도가 측정이 되며 그 더해진 수는 그 어느 것보다 더 큰 경계를 넘어가는 흘러넘침을 의미한다고 본다(욥 5:19; 33:14; 전 11:2; 잠 30:15-31).3) 따라서 더그라스 스튜아트(Douglas Stuart)는 다메섹의 수다한 죄들을 인하여로 번역하였다.4) 일반적으로 숫자적인 언급이 목록을 이루고 있을 때는 그 마지막이 그 연속된 목록의 정점으로서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한 가지 죄만이 네 번째 목록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절정의 죄나 단순히 모든 죄의 대표적인 것을 가리킬 것이다(Mays). 그러면 여기서 서너 가지는 문자적으로 취할 것인가? 혹은 상징적으로 취할 것인가? 문자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인 표현으로 보는 것이 더 옳을 것 같다. 아모스의 청중들이 언급되어 있지 않은 세 가지 죄를 알고 있었을까? 일반적으로 선지자의 경고에 무감각했던 청중들은 그렇지 못했을 것이다. 위에서 이미 암시되었듯이 셋은 아마도 가득한 것을 그리고 넷은 흘러넘친 것을 나타냈을 것이다. 그 하나의 언급된 죄가 하나님의 참으심을 한계점으로까지 밀고 가게 하는 것이었다.5) 하나님은 선민에게만 아니라 이교도들에게까지도 인내의 하나님이시다. 그러나 회개는 없이 반복하여 짓는 죄 그리하여 온 땅에 가득하고 흘러넘치게 될 때 그 죄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님의 심판뿐이다. 주 1. Billy K. Smith and Frank S. Page, Amos, Obadiah, Jonah(Broadmans Holman, 1995), p.48 2. Thomas E. McComiskey, Amos,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282 3. Theodore Laetsch, Minor Prophets(St. Louis: Concordia, 1975), p.140 4. Douglas Stuart, Hosea-Jonah(Waco: Word, 1987), p.303 5. Billy K. Smith and Frank S. Page, Op.cit., p.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