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모세가 요단 저편 숩 맞은편의 아라바 광야 곧 바란과 도벨과 라반과 하세롯과 디사합 사이에서 이스라엘 무리에게 선포한 말씀이니라" (신 1:1)
오경이 모세 저작이라는 사실은 전통적인 기독교와 유대주의의 견해이다. 따라서 모세의 오경 저작은 유대주의 철학자 필로(Philo)나 역사가 조세프스(Josephus)도 주장하는 바였다. 더나가서 신약의 많은 구절이 신명기를 모세의 저작으로 알고 인용하였다(마 19:7; 막 12:26; 눅 24:27, 44; 요 7:19, 23; 행 13:39; 15:5; 28:23; 고전 9:9; 고후 3:15; 히 9:19; 10:28). 그러나 후기 18세기와 19세기초에 어떤 유럽의 학자들은 모세의 신명기 저작을 부인하며 그것을 대체로 요시아 시대에 산 저자의 작품으로 돌린다. 예를 들어 벨하우젠(Wellhousen)은 신명기 저자는 모세가 아니라 주전 621년의 요시아의 개혁 바로 전 12장에서 26장까지의 재료를 편집한 한 선지자였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오늘날 신명기의 저작 연대와 저자에 관해서는 적어도 아래 네 가지 다른 견해가 있게 되었다.
1. 모세 시대의 모세의 저작이다. 이 견해는 후기 모세 자료의 어떤 범위는 허용한다. 2. 신명기의 자료의 많은 부분은 모세 때까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아마도 사무엘이나 다윗 시대 혹은 300‐400년 후대 아마도 솔로몬의 사후 초기 기간에 편집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편집의 추가적 다양성이 허용된다. 3. 신명기는 주전 7세기 히스기야와 요시아 시대 어간에 기록되었다. 신명기에는 모세의 자료의 상당한 하층 구조가 있는 것을 부인하지 않으나 모세의 원리들이 그 작품의 대부분의 기초가 되어 있다. 4. 신명기는 포로 후기 작품이다. 따라서 학개와 스가랴 시대부터 주전 400년까지 다양한 연대들이 제시되어 왔다(1).
칄즈(B.S. Childs)는 이 순간에 두 세기의 비평적 지식의 결과들은 신명기가 모세의 실제적 말들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적어도 신명기는 정확하게 모세와 언약적 율법에 대한 그의 적용과 가나안에 들어가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필요한 야외의 법률들을 묘사하고 있는 전통임을 가리키고 있다(2).
비평적인 연구의 결과가 어떤 것이든 우리는 모세가 신명기의 저자라는 아래와 같은 확실한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다.
1. 신명기서 자체가 반복해서 이것이 모세의 말이라고 주장한다(1:1; 4:44; 29:1). 2. 모세의 직접 계승자인 여호수아가 신명기를 모세에게 돌리면서 모세가 명령한 모든 율법을 지켜 행하라고 이스라엘 백성을 권면하고 있다(수 1:7). 3. 구약의 나머지 책들이 신명기를 모세의 저작으로 돌린다(참고, 삿 3:4; 왕상 2:3; 왕하 14:6; 스 3:2; 느 1:7; 시 103:7; 단 9:11; 말 4:4). 4. 신명기는 율법서로 신약에서 대부분 인용되며 자주 모세가 참으로 말했다(행 3:22). 모세가 말씀하기를(롬 10:19) 혹은 모세의 율법이 기록되었다(고전 9:9)와 같은 말로 인용되었다. 5. 우리 주님이 그가 마귀를 대적하실 때(마 4:7; 눅 4:12) 권위 있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신명기를 인용하셨다(6:13). 그리고 주님은 직접 그것을 모세의 저작으로 간주하시면서 모세가 말하되(막 7:10) 혹은 모세가 썼다고 하셨다(눅 20:28). 6. 그 책의 지리적이고 역사적인 상세함이 그 저자는 모세가 경험했던 것과 같은 목격자였음을 나타낸다. 7. 근동 계약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학적인 연구들이 모세 시대에서 온 것임을 가리킨다(Meredith Kline).
물론 많은 학자들의 주장하는 대로 신명기안에 분명히 후기 시대에 대한 것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별히 모세의 죽음에 대한 신명기 마지막 장(34장)은 아마도 그 시대의 관습에 따라 후계자 여호수아가 썼을 것이다(3).
그러므로 신명기서의 저자가 모세라는 전통적인 견해는 위에서 본대로 충분한 내증과 외증이 있다. 그러나 신명기가 지금의 형태로 책이 되는 편집의 과정을 인정한다면 정확하게 그 시기를 말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톰슨(J. A. Thompson)은 그 연대를 모세 후 2‐3세기의 주전 11‐10세기로 본다.
주 1. J.A. Thompson, Deuteronomy(Downers Grove: IVP, 1974), pp.47‐49. 톰슨은 신명기서 저자에 대한 네 가지 견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상게서 48‐68를 참고하라. p.212 2. B.S. Childs, Old Testament as Scripture, W.S. Lasor, D.A. Hubbard, F.W. Bush Old Testament Servey(Grand Rapids: Eerdmans, 1994), p.180 3.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1992), pp.113‐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