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나님께서 모세를 죽이려 하셨는가?
RevSuh  2008-07-24 21:09:48 hit: 3,866

   "여호와께서 길의 숙소에서 모세를 만나사 그를 죽이려하시는지라"  (출 4:24)

위의 말씀은 출애굽기에서 가장 어려운 말씀 중에 하나다.  그것은 번역에서 낱말의 의미와 이 특수한 문맥에서의 그 위치 때문이다.  따라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해석이 다양하다⑴.
  
지금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애굽으로 가고 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하나님께서 모세를 만나 죽이려고 하신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이해가 안 된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여기 하나님이 모세를 죽이려 하셨다는 말을 지나치게 극단적인 표현으로 보아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병을 앓게 하셨고 거의 죽게 된 것으로 본다⑵.  또 창세기 6:1-4처럼 본문은 모세의 전통에 속한 부분이 아니라고 의심하는 학자들이 있다. 그렇지 않다면 이 이야기는 다른 전통에서 온 것으로 마침내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1. 모세는 귀신에 의해 치명적인 공격을 받았는데 후에 여호와로 대치되었으며 결혼식 날 밤에 처녀 아내와 올바른 첫 부부 관계를 요구했다고 한다(Meyer, Gressmann).
  2. 게르솜을 공격했을 것이다(Fohrer, Ccasuto). 왜냐하면 그가 할례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그렇지 않다면
  3. 같은 이유로 모세까지 공격했다는 것이다(Hyatt)⑶.

그러나 위의 본문을 학자들이 어떻게 보던지 그것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에게 주신 계약의 표로서 할례의 필연성과 연관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창 17:10).  그리고 하나님께서 모세를 죽이려 하신 것은 그의 아들이 미디안에서 출생했을 것이나 아직도 할례를  받지 않은 이유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나님과의 언약의 표로서 아브라함의 후손은 난지 8일만에 할례를 해야 했으며 할례를 받지 않은 남자아이는 그의 백성에서 끊어지게 되어 있었다(창 17:12). 그런데 이 할례는 하나님을 불쾌하시게 하는 모든 것을 없이하고 앞에 있는 과업을 위해서 하나님께 헌신하는 하나의 상징이었다⑷.
  
그것이 사실이라면 지금 모세는 지도자의 책임 있는 역할을 위해 하나님께 임명을 받았으므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의 좋은 모범으로 섬기고 아브라함에게서부터 상속된 계약적 의무들에 성실함을 보여 줄 의무가 있었다⑸. 더구나 여기 모세의 아들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소유로 말씀하신 장자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세는 그 백성의 지도자로서 마땅히 먼저 그의 아들의 할례를 시켰어야 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그 책임을 물으신 것이다. 그리고 이 사건은 아브라함의 믿음의 시험(창 22:2)이나 혹은 얍복강의 야곱의 씨름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창 32:22-32).  여기서 십보라의 위기에 대한 반응은 모세의 생의 가장 중요한 책임의 시발에서 고통스럽게 절룩거리는 그의 몸을 예방하기 위한 대속적 할례와도 같았다⑹.  여기 모세의 아내 십보라가 아들의 할례를 행한 것은 예외적인 사건인데 아마도 그 이유는 아마도 모세가 중병으로 아들의 할례를 행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본문에서 또 한 가지 문제가 되는 것은 24절의 번역을 일반적으로 우리말 성경과는 다르게 여호와께서 그를 만나 그를 죽이려 하셨다고 했기 때문이다(NASB). 그래서 학자간에는 여기서 그가 누구냐로 해석이 분분하다.  어떤 학자들은 여기서 그는 모세의 아들 게르솜이다.  왜냐하면 그가 할례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러나 설사 모세의 아들이 할례를 받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할례는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했어야 하므로 그 책임은 모세에게 있었다. 그러므로 문맥으로 보나 상황으로 보나 또 모세의 위치로 보나 여기서 그는 모세임이 틀림없다.
  
여기서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가?
지도자는 먼저 남을 지도하기 전에 자신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사실이다. 하나님의 소명을 받은 지도자에게 제일 필요한 것은 순종이다.  신앙의 지도자는 먼저 순종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야 한다.

   주
   1. Walter C. Kaiser, Jr., more hard sayings of the Old Testament(Downers Grove: IVP, 1992), p.72
   2. John 1, Durham, Exodus(Waco: Word, 1987), pp.56-57
   3. R. Alan Cole, Exodus(Downers Grove: IVP), pp.78-79
   4. G.L. Archer, Encyclopedia of Bible Difficulties(Grand Rapids; Zondervan,1982), p.111
   5.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 1992), p.67
   6. J.I.Durham, Opcit., p.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