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에스라는 글을 쓸 때 이미 망한 옛 앗수리아의 왕에 대한 언급을 했는가?
RevSuh  2008-07-31 20:19:50 hit: 1,374

     "즐거우므로 칠일 동안 무교절을 지켰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저희로 즐겁게 하시고 또 앗수르왕의 마음을 저희에게로 돌이켜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신 하나님의 전 역사하는 손을 힘있게 하도록 하셨음이었느니라"      (에스라 6:22)

여기서 에스라는 그 당시 이미 사라진 오래 전에 있었던 앗수르 왕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절은 필사 과정에서의 실수가 였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초기 필사자의 오류로 보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칠십인 역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의 제국이 처음에 바벨론 이었다가 페르시아가 되었으나 그의 정책들이 지금은 극적으로 전환된 전통적인 압제자에 대한(참고; 느 9:32) 기억을 일깨우려는 의도였을 것이다(1).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여기 앗수리아 왕이란 말이 히브리어 본문에는 없다.  게다가 이 문맥에 의하면 그 왕은 다리우스를 의미했을 것이다(스 6:1, 12, 14-15).  그런데 왜 그를 앗수리아의 왕이라고 불렀는가?
  
느헤미야 9:32에 앗수리아 왕들의 호칭이 앗수리아 바벨론 그리고 페르시아 왕들을 포함하여 사용되었다.  페르시아 사람들이 앞선 앗수리아 땅을 다스렸기 때문에 다리우스를 앗수리아의 왕으로 말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고레스(페르시아 왕)가 바벨론 왕의 호칭을 요구한 것과 같았다(2).  물론 어떤 학자들은 이 구절을 세류시드(Seleucids)시대에 산 연대 기록자가 그의 당대 왕들에 대한 생각을 했기 때문에 시대 착오를 일으켰을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대로 그렇게만 볼 필요는 없다.  그것은 새로운 지배자들이나 외국 통치자들이 특별한 나라의 왕의 명단에 합명되었던 고대 근동으로부터 증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벨론의 왕 명단에는 앗수리안 칸달라누(Kandalanu)로부터 시작되어 갈대아인 나보폴살(Nabopolassar)과 느브갓네살을 언급하며 고레스 캠비세스(Cambyses) 그리고 다리우스를 언급한 후 셀류시드(Seleucid)왕들의 이름으로 끝마친다. 다리우스는 역시 앗수리아의 주권자였기 때문에 그는 쉽게 앗수리아의 왕으로 불려질 수 있었다(3). 그리고 저자가 이렇게 앗수리아 왕들을 언급하게 된 이유는 그들이 하나님에 의해 이스라엘의 백성을 징계하는데 쓰여졌으나(참고; 느 9:32) 이제 하나님께서 앗수리아 왕(다리우스)으로 유대인에게 호의를 베풀어 역사적 상황에 큰 변화를 이루는데 사용하셨기 때문이다. 결국 이 말씀도 하나님께서 역사의 주인이시며 역사의 운행자이심을 보여주고 있다.

   주
   1. Derek Kidner, Ezra & Nehemiah(Downers Grove: IVP, 1979), p.60
   2.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96
   3. F. Charles Fensham, the Books of Ezra and Nehemiah(Grand Rapids: Eerdmans, 1983), pp.9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