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이 형통하는가?
RevSuh  2008-08-02 22:03:19 hit: 1,918

     "여호와여 내가 주와 쟁변할 때에는 주는 의로우시나이다 그러나 내가 주께 질문하옵나니
      악한 자의 길이 형통하며 패역한 자가 다 안락함은 무슨 연고이니이까"    (렘 12:1)

악인이 형통하고 패역한 자가 다 안락함은 무슨 이유입니까?  이 예레미야의 질문은 모든 시대 의인들의 의문이기도 하다.  같은 불평을 성경 여러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참고, 욥 12:6; 시 73:7; 합 1:1-2; 말 2:17; 3:14-15).  이 질문은 하나님의 공의하신 통치를 믿는 신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야기시킨다.  하나님은 정말 지금도 다스리시는가?  하나님은 정말 공의하신가?
  
그런데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악인은 번창하지 못하며 차라리 재앙은 죄인들을 따르고(잠 13:21)  악인을 죽일 것이라 하였다(시 34:21).  따라서 이런 구절들은 서로 모순이 아닐 수 없다.  그러면 어느 것이 옳은가?
  
먼저 본문의 뜻부터 살피고 문제를 풀기로 하자.
여기서 예레미야는 하나님은 의로우시다고 한다.  이 의는 인간 사회의 확립된 규범이나 표준에 맞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의 규범이요 표준이다. 그러나 예레미야에게 악한 자의 번영과 하나님의 공의는 조화될 수가 없었다. 그래서 하나님은 의로우시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저는 하나님과 논쟁한다.

그리고 여기서 악한 자의 번영을 나무에 대한 유추를 사용하므로 그들이 뿌리를 가지고 자라며 열매를 맺으므로 하나님이 심으셨다고 믿었다( 참고, 삼하 7:10).

그러면 여기 악한 자들은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가?
그들은 외적으로 종교적인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말은 경건하게 보인다(참고, 사 29:13; 마 7:21).  그러나 내적으로 그들의 마음은 하나님께로부터 멀리 떠나 있다.  여기 마음은 신장으로 양심과 감정이 있는 곳이다(1). 악한 자는 그의 선하심을 인해서 하나님께 감사하며 그를 예배하는 대신에 실제로 그들의 마음에 실재는 없이 입으로만 경건하게 말하는 위선자들을 가리킨다(2). 따라서 악한 자는 하나님을 모르거나 불신하는 자가 아니다.  오늘날로 말하면 명목상의 신자요 고백뿐 실천이 없는 신자요 형식은 그럴듯하나 내용이 없는 자다.
  
그러면 과연 악한 자가 번영하고 형통하는가?
예레미야는 생의 불공평함에 대해 불평할 뿐만 아니라 그 일에 하나님이 관여하고 계신다고 고발하기까지 한다(3).  그런데 그것이 사실인가?
  
실제로 예레미야가 보고 고민하고 불평한 것처럼 이 세상에서 악한 자가 번창하며 형통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그 이유가 무엇인가?
  
하나님이 살아 계시며 이 우주를 다스리신다면 악인의 번영은 그저 우연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필요를 예비하시는 하나님의 일반은혜라고 할 수 있다(참고, 마 5:45; 눅 6:35).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마지막 해답은 하나님의 주권적 지혜와 의로우심을 믿는 것이다(4).
  
더 나아가서 긴 안목으로 볼 때 대부분 악한 사람들의 성공이나 형통은 그의 말년까지도 가지 못한다.  기독교를 극심하게 박해했던 로마의 황제들이 모두 일시적으로만 황제의 권세를 행사했다. 대부분이 2년을 못 넘기고 살해되거나 전투에서 죽임을 당했다. 그리고 모두가 불행하게 죽었다.  물론 죽을 때까지 형통한 악인들이 더러 있다. 그러나 사후에 영원한 세계와 공의하신 하나님의 심판이 있음을 내다 볼 수 있다면 그들이 누리는 번영은 지극히 일시적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다만 악인들이 오래 형통한다면 그것은 자비하신 하나님께서 그 악인에게 회개의 기회를 주시므로 심판을 연기하시는 것뿐이다(벧후 3:9).
  
성경이 악인이 죽는다는 말씀을 할 때 그것은 언제나 즉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악인이 형통한다거나 악인은 형통하지 못한다는 상반되는 성경 구절들은 사실상 서로 모순이 아니다.

    주
    1. F. B. Huey, Jr. Jeremiah, Lamentations(Nashville: Broadman, 1993), p.139
    2. Peter C. Craigie, Page H. Kelley, Joel F. Drinkard, Jr, Jeremiah1-25(Dallas: Word, 1991), p.180
    3. Charles L. Feinberg, Jeremiah E.B.C. Vol.6(Grand Rapids: Zondervan, 1986), p.457
    4.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 1992), p.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