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하면 누구나 의인으로 고난받은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용기의 주제는 성경의 어느 책보다도 특별하게 의인의 고난을 다룬다고 본다. 그러나 욥기는 의인의 고난만을 크게 다룬 책이 아니다. 차라리 그것과 함께 다른 중요한 주제들을 취급하고 있다. 욥기는 의인의 고난보다는 믿음과 의심의 문제를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그런 환경에 처해서 하나님을 믿을 수 있었는가? 어떻게 주권적이시고 사랑이시며 공의하신 하나님께서 무죄한 사람을 그런 무서운 시련의 고통에 빠지게 허락하실 수가 있으신가? 시련의 때에도 우리의 신앙을 지킬 수 있는가?(1) 따라서 욥기는 고난의 문제를 취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직접적인 대답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다만 고난은 인간의 지혜로 설명될 수 있는가? 진정한 예배에 대한 유익한 동기의 관계는 무엇인가?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한 사람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렇게 욥기는 고난 중에 위로를 위한 적절한 영적 준비가 필요하며 위기 사역의 방법 등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여기서 저자의 목적은 고난의 해답에 있지 않고 고난을 그의 종교적인 목적을 위해서 매체로 사용하는데 있었다. 일반적인 원리는 경건과 번영 죄와 고난이 절대로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짝이라고 할 수 있으나 욥은 그런 원리에 대해 의문과 그 원리의 절대성을 철폐한다고 할 수 있다(2). 하트레이(John E. Hartley)는 욥기의 주제들을 욥이 당한 고난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것들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의인도 무섭게 고난을 당할 수 있다. 2. 욥과 같이 위대한 신앙인이요 흠이 없는 성품을 지닌 사람도 육체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감정적으로 고난을 받았다. 3. 욥의 시험의 중심은 그의 도덕적 결의를 깨뜨리려고 위협하는 하나님의 부당한 분노로 기인된 고뇌였다. 4. 저자는 이중 응보의 원리, 즉 의인은 항상 축복받고 악인은 고난을 받고 일찍 죽음을 경험한다는 지나치게 단순한 이해에 직접적으로 도전한다. 5. 고난은 하나님은 악인을 심판하신다는 믿음과 악인이 결코 심판을 당하지 않고 의인이 갑자기 재난에 붙잡히는 다양한 경우의 실제 사이에 모순 으로 욥의 눈을 열어 주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기서 의인의 고난에 대한 아래와 같은 삼중의 해답을 얻을 수 있다.
1. 하나님은 그가 수여하시는 축복을 떠나서까지도 사랑할 가치가 있으신 분이시다. 2. 하나님은 경건에서 영혼을 순결하게 하며 강건하게 하실 방편으로 고난을 허용하실 것이다. 3. 하나님의 사상과 방법들은 인간의 작은 마음을 위해서는 이해하기에 너무나 광대함을 고려하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전능자의 웅대함과 환상 으로 인해서 생의 문제들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실제로 그 자신의 영광과 우리의 궁극적인 선을 위하 여 최선의 것이 무엇임을 아신다(3).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결론할 수 있다. 욥기의 주제는 다양하다. 물론 의인의 고난이라는 난제가 등장하나 그것은 알려진 일반적인 원리의 응보로서는 풀려질 수 없는 것이다. 의인의 고난은 그런 차원을 넘어서 신앙적인 깊은 뜻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유는 모든 사람에게 다 같을 수도 없다. 다만 신자는 이유 없는 고난의 때에라도 하나님께서는 그를 사랑하시며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에게는 모든 일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여기서 욥은 하나님의 엄위로 두렵게 되고 은혜로 그와 말씀하심에 압도되어 하나님께 대한 그의 불평을 포기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나님의 선하심과 주권적이신 진리를 깨달음으로 그의 고난도 극복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욥은 어떤 의심도 뛰어넘어 물질적인 수익이나 명성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랑에서 하나님을 섬기게 되었다(4).
주 1.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103 2. The Broadman Bible Commentary(Nashville: Bradman, 1071),p.28 3. Gleason L. Archer, Jr., A Survey of Old Testament(Chicago: Moody, 1980), p.454 . 4. John E. Hartley, the Book of Job(Grand Rapids: Eerdmans, 1988), pp.47-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