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께서 대풍을 바다 위에 내리시매 바다 가운데 폭풍이 대작하여 배가 거의 깨어지게 된지라 사공이 두려워하여 각각 자기의 신을 부르고 또 배를 가볍게 하려고 그 가운데 물건을 바다에 던지니라 그러나 요나는 배 밑층에 내려가서 누워 깊이 잠이 든지라.... 그들이 서로 이르되, 자 우리가 제비를 뽑아 이 재앙이 누구로 인하여 우리에게 임하였나 알자 하고 곧 제비를 뽑으니 제비가 요나에게 당한지라" (욘 1:4-5-7)
제비를 뽑아서 알지 못하는 것을 알아내려는 것은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성경적인 신앙의 세계보다는 우연이나 요행수를 바라는 세속적이고 이교적인 세계에 더 부합할 것 같다. 그런데 여기 대풍으로 폭풍에 휘말려 배가 좌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했던 선장과 선원들은 마지막 수단으로 그 폭풍의 원인을 찾기 위해 제비를 뽑았고 그것이 당사자인 요나에게 적중하였다.
그러면 우리는 이 사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또 성경의 다른 곳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가?
여기 선원들이 사용한 제비뽑기는 고대 근동에서 폭 넓게 사용된 방법이었다.
제비는 주사위와 같은 것으로 아마도 돌들이나 조약돌이었을 것이며 하나는 긍정을 다른 하나는 부정을 가리킨 것으로 다른 색깔들이었을 것이다.1) 그 양면의 색깔들은 빛과 어두움으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기 위해 제사장의 옷에 붙어 있었던 우림과 둠빔을 연상케 한다(출 28:30). 그 제비를 던져 어두운 면이 올라오면 아니오요, 밝은 면이 위로 나오면 예였으며 만일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함께 나오면 다시 던졌다.2) 그러나 이스라엘 밖의 나라들에서는 뼈, 돌, 볕에 말린 것이나 불에 구운 토기, 화살대, 그리고 나무조각 등이 쓰였다.
이런 제비뽑기는 성경에서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아래 경우들에서 쓰였다.
1. 선출: 이스라엘의 첫 왕(삼상 10:19) 군사적 원정을 위한 용사(삿 20:9), 포로 후 예루살렘에 살기위한 개인들(느 11:1), 속죄일에 제물(레 16:8-10), 가룟 유다를 대신한 사도 선택(행 1:23-26)
2. 할당이나 배당: 성전의 유지를 위한 특별한 부담들(느 10:35), 가나안에 있는 다양한 지역의 지파들(삿 20장)의 수에 따른 할당
3. 분배: 전리품을 나눌 때(나훔 3:10)
4. 논쟁을 종식시킬 때(잠 18:8).3)
그 밖에 아간의 죄를 알아내는데(수 7장) 사울 왕에 의한 서약을 모르고 어긴 요나단의 잘못을 알아내는 데도 쓰였다(삼상 14:43-46).
이상에서 본대로 제비뽑기는 성경에서 사용된 하나님의 뜻을 아는 방편이었고 또 기도를 병행하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비뽑기의 성경적 정당성의 근거로는 잠언 16:33 “사람이 제비는 뽑으나 일을 작정하기는 여호와께 있느니라”에서 알 수 있다. 이처럼 여기 요나가 제비에 당첨된 것은 하나님의 손가락의 역사였고 요나의 양심이 그것을 요나에게 말한 것이다.4)
그러면 제비뽑는 것으로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은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오늘날도 제비뽑기로 논쟁적인 문제에 해결을 보는 것은 정당한가?
제비뽑기는 오순절 전에 매우 중요하였으나 그 후에는 성경에서 그 중요성을 찾아보기 힘들다.5)
요한 칼빈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그런 예를 모방하는 것은 확실히 하나님을 기쁘시게 못할 것이며 또 그의 말씀에도 부합되지 않는다고 보았다.6) 더구나 제비를 뽑는 것이 하나의 자동적 정당성이나 유효성을 지닌다는 생각은 잘못이다. 왜냐하면 모든 경우에 응답에 대한 이유는 제비를 뽑거나 던지는 자의 손에 있지 않고 하나님이 정하실 일이기 때문이다.
다만 사람의 결정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거나 사람의 분별력에 일치할 때 실로 그의 뜻이라는 그 이상의 확신을 주기 위해서 이 방편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비뽑는 것이 성경과 기도 그리고 성령의 내적 증거를 통해서 알려질 수 있는 것을 간과한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다.7)
우리는 성경과 기도와 성령의 내적 증거의 확신이 하나님의 뜻을 아는데서 제비뽑기보다 더 신뢰하고 따라야 할 방편임을 기억해야 한다. 오늘날 제비뽑기는 신자에게 하나님의 뜻을 아는데 쓸 수 있는 보편적인 방편이 될 수 없다. 제비뽑기가 보편적인 하나님의 뜻을 아는 방편으로 쓰인다면 그것은 하나의 요행수나 자신의 바람이나 소망을 억지로 하나님의 뜻이라고 주장하는데 쓰일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님의 뜻 대신 내 뜻을 구하는 결과가 되고 말 것이다.
주
1. The Brodman Bible Commentary, Vol.7(Nashville: Brodman, 1972), p.163
2. Douglas Stuart, Hosea - Jonah(Waco: Word, 1987), p.459
3. Jack M. Sasson, Jonah(New York: Doubleday, 1990), p.108
4. Theodore Laetsch, Minor Prophets(St. Louis: Concordia, 1975), p.225
5. The New Bible Dictionary(Longon: IVP, 1965), p.321
6. John Calvin, Prophet Jonah(Grand Rapids: Baker, 1989), p.48
7. Cf. Walter C. Kaiser, Jr. More Hard Sayings of the Old Testament(Downers Grove: IVP, 1992), p.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