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의 말씀이 아밋대의 아들 요나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너는 일어나 저 큰 성읍 니느웨로 가서 그것을 쳐서 외치라 그 악독이 내 앞에 상달하였음이니라 하시니라" (욘 1:1-2)
요나서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요나서가 역사상 실제로 발생한 사건을 기록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근래의 학자들 중에 그 역사성을 의심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그 이유로 바다의 큰 풍랑, 큰 고기, 박 넝쿨, 그리고 벌레, 사람이 고기 뱃속에서 삼일 동안 산 것, 니느웨 사람들이 여호와의 신앙으로 개종했다는 것, 니느웨 왕으로 부렸을 앗수르의 왕이 없었다는 것 또 니느웨 성은 삼일을 여행 할 만큼 큰 성이 아니었다는 것 등이다. 산헤립 때에 니느웨 성을 둘러 있던 성벽은 대략 8마일 정도였다.1) 그밖에 다른 의문점으로는 어떻게 알지도 못하는 말로 전한 외국인의 설교를 듣고 감동을 받아 죄를 뉘우쳐 금식하며 회개할 수가 있었겠는가 하는 점이다.
따라서 요나서는 팔레스틴에 살고 있던 주전 5세기의 유대인들로 하여금 그들의 국수주의적인 편협한 마음을 버리게 하고 그들 주위의 이방 나라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게 하려고 풍유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야기한 짧은 역사로 이해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한다.2)
요나서의 19세기의 회의적인 학자들이 그 진리의 많은 부분을 부인했고 그 기적들을 단지 인간의 전승 정도로 간주한데서 비롯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사람은 아이크호론(J.G. Eichhorn, 1823)이었다. 이런 비판적인 학자들은 요나서의 역사성을 부인하고 하나의 아름다운 알레고리나 비유로 취급해 버린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아래와 같은 사실로 반박할 수 있다.
1. 요나서가 편협한 민족주의와 배타주의에 대한 항변으로서 에스라와 느혜미야 시대에 기록된 이야기라면 이야기의 거의 전체가 그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 요나서는 진리로써 간주되어야 한다. 심지어 풍유적 해석의 선구자요 대표자였던 필로(Philo)까지도 문자적으로 고기의 기적을 설명하느
라 고심했다(De Jonae Oratione 16.21)는 사실은 요나서를 풍유나 비유로 보려는 입장을 어렵게 한다. 어떤 랍비도 요나서의 진리를 의심했다는 증
거는 없다.3)
2. 요나서의 저자 요나가 역사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아밋대의 아들로 갓헤퍼(Gath-Hepher)에 거주했으며 주전 786-746년경 여로보암 통치때 북왕국
에서 여호와의 참 선지자로 사역하였다(왕하 14:25).4)
3. 아이스렌(Eiselen)은 여기 48절에 12개의 기적들이 기록되어 있다고 하여 그 역사성을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5) 그러나 반 초자연적인 선입관에
서 본서의 기적을 부인하고 그 역사성을 부인한다면 다른 성경도 다 그 역사성을 부인해야 할 것이다. 얼마나 많은 기적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가?
신 8:4; 29:5; 출 16:14-35; 수 5:12; 마 14:29; 요 11:17, 44) 사도행전 2장과 10장 각각 47절과 48절에서 많은 기적을 발견하게 된다.
4. 마태복음 12:40에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께서 요나를 완전히 역사적인 인물로 믿으셨다. 거기서 예수님은 자신의 장사와 부활을 예고하셨는데 그 예
언을 의심하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게 그들이 요구하는 표적으로 제시하셨다. 그 표적은 요나의 체험이다. “요나가 밤낮 사흘을 큰 물고기 뱃속
에 있었던 것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을 땅속에 있으리라” 여기서 예수님은 고래 뱃속에서의 요나의 체험을 수난일로부터 부활절 아침 사이에 그를 기
다리고 있는 죽음과 장사와 부활의 한 전형이라고 단언하셨다. 앞으로 그리스도께서 겪을 일이 - 이 일은 분명히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 선지자 요
나의 체험에 대한 하나의 대형(antitype)역할을 할 것이다. 만약 그 대형이 역사적인 것이었다면 그 전형도 역사적인 사건이어야 한다. 사실에 대응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사실뿐이다.
5. 요나의 설교로 니느웨 사람들이 회개했다는 사실에 의심을 갖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것 역시 예수님의 말씀에 역사적인 사건으로 간주되었다. “심판
때 니느웨 사람들이 일어나 이 세대 사람을 정죄하리니 이는 그들이 요나의 전도를 듣고 회개하였음이어니와 요나보다 더 큰이가 여기 있으며”(마
12:41), 만약 니느웨 사람이 실제로 회개한 일이 없었다면 예수님당시 사람들의 불신에 대한 모든 종말론적인 정죄는 매우 부당한 것이 되었을 것이
다. 예수께서는 니느웨 사람들이 실제로 회개했으며 예수님 당시의 이스라엘 사람들이 따라야 할 모범을 세워 놓았다고 선언하셨다.5)
6. 선지자 요나와 그의 사역에 대한 증거가 될만한 고고학적인 증거가 있다. 선지자 요나의 이름이 북쪽 이스라엘에서 발견되었으며 어떤 고대 동전에
는 고기의 입에서 나오는 사람이 새겨져 있다.6) 따라서 요나서의 역사성을 부인하는 이유들은 그 어느 것도 그 역사성을 부인할 수 있을 만큼 설득
력이 없다.
주
1. Theodore Lactsch, Minor Prophets(St. Louis: Concordia, 1975), pp.216-217
2. 글리슨 아쳐, 성경 난제 백과사전, 황영철역(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p.412
3. H. L. Ellison, Jonah,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362
4. Beacon Bible Commentary, Vol.5(Kansas City: Beacon, 1966), p.162
5. Theodord Lactsch, Ibid.,
6.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 1992), pp.307-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