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께서 아간과 함께 그의 가정 전체를 심판하신 것은 공정한 것이었는가?
RevSuh  2008-07-29 21:31:54 hit: 1,628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모든 사람으로 더불어 세라의 아들 아간을 잡고 그 은과 외투와 금덩이와 그 아들들과 딸들과 소들과 나귀들과 양들과
     장막과 무릇 그에게 속한 모든 것을 이끌고 아골 골짜기로 가서......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치고 그것들도 돌로 치고 불사르고” (수 7:24-25)

이 구절은 아간의 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묘사한다.  그런데 범죄한 아간만 아니라 그의 모든 아들, 딸들이 함께 죽임을 당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심판의 공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또 범죄 하는 그 영혼은 죽을 것이며 아들은 아비의 죄악을 담당치 아니하리라는(겔 18:20) 다른 성경 구절과도 모순이 아닌가?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답이 제시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어떤 학자들은 아간의 자녀들은 사형당하지 않았으며 단지 그와 함께 간 것은 그 사건이 그들에게 하나의 본보기가 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이 견해를 지지하는 근거로는 첫째는, 성경에 아간 외에 누구도 범죄했다는 언급이 없다. 바친 물건을 가진 자로 뽑힌 자를 불사르라 했고(15절) 역시 아간이 내가 범죄 했노라고 자백하였다(20, 21절).
  
둘째는, 그 본문에서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쳤으며(25절) 또 그것들을 불태웠다는 언급은(25절) 그가 취한 은, 금, 그리고 외투를 암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셋째로, 그의 범죄 때문에 아간의 가족이 돌에 맞는 것은 아들이 아버지의 죄를 담당하지 않으리라는(겔 18:20) 구약의 율법에 분명히 어긋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해답의 문제는 25절에 그들이 돌로 그들을 친 후에 불로 그들을 사뤘다고 한 점이다.  생명이 없는 대상을 돌로 쳤다는 것보다는 아간과 그의 가족을 돌로 쳤다는 것이 더 사리에 잘 맞을 것이다.
  
다른 한 해석은 아간과 함께 아간의 가족을 돌로 쳤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도 그의 범죄에 연루되었으므로 그들은 아간이 아니라 그 자신들의 죄로 심판받았다는 것이다.
  
이 해석은 아래와 같은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  
첫째로, 아간이 훔친 물건을 가족 중에 아무도 모르게 가정의 장막에 숨기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둘째로, 가족의 죄는 그들의 심판 자체에 암시되어 있다. 그것은 다른 사람의 죄로 심판 받는 것은 금지되었으므로
그 가족들도 아간과 함께 범죄하였을 것이다.
셋째로, 하나님은 생명을 주신 분이시므로 생명을 취해 가실 권리가 있으시다(신 32:39).  욥은 생명을 주신 자도 취하시는 이도 하나님이시라 하였다(욥 1:21).
넷째로, 그 가정에 작은아이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러나 거기에 아이들이 있었다면 하나님은 그들을 취하실 주권적 권리가 있으시다. 또 만일 부모가 죽임을 당한다면 자녀들을 돌볼 부부가 없게 되니 하나님이 직접 돌보시기 위해 그들을 취해 가신 것은 더 자비였다고 할 수도 있다⑴.

위의 해석 중에 두 번째 것이 성경의 본문에 보다 더 성실한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아간의 죄에 대해서 가족들이 알고도 묵인했다면 그의 죄에 동참한 것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따라서 온 가족이 함께 심판 받은 것은 당연했다.
  
그러나 생사는 하나님의 주권으로 되는 일로 우리가 다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있음도 사실이다.  라합의 구원과 그녀의 가족과 이름의 보존은 아간의 심판과 대조적이다⑵.  
  
그러나 라합의 가족이 라합과 협력해서 이스라엘의 정탐꾼을 숨겨 주었다는 기록은 없다. 그 일은 라합이 단독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그 온 가족이 구원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범죄한 아간에게 속한 가족이 다같이 심판을 받았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의 모든 사건에서 언제나 우리의 이해와 판단에 만족할만한 원인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권한에 속한 일이요 그의 기쁘신 뜻대로 하시는 역사임을 기억해야 한다.

     주
     1.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 1997), pp.138-139
     2. Richard S. Hess, Joshua(Downers Grove: IVP, 1996), p.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