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예레미야 애가를 공부해야 하는가? 이 책이 우리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에 기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RevSuh  2008-08-02 22:29:17 hit: 754

예레미야애가는 히브리 성경에서 세 번째 그룹인 성문서에 속한다.  여기에 네 다른 책들이 포함되는데 룻기, 솔로몬의 아가서, 전도서 그리고 에스더서이다. 이 책들을 메기롯(두루마리들)으로 부른다.  예레미야애가는 재난이 원인이 된 죄에 대한 고뇌의 고백과 함께 예루살렘의 멸망에 대한 슬픔의 울부짖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주전 587년 예루살렘과 그 성전의 파괴일을 기념하기 위해 매해 아브의 제 구일 금식일에 회당에서 읽었다.
  
예루살렘의 멸망이나 성전의 파괴는 배교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었다.  그들은 선지자의 끈질긴 경고와 회개의 설득에도 듣지 않았고 심판을 자초하고 말았다.  결국 그들은 신명기 28장에서 언약을 깨는 경우에 하나님이 징계하시리라고 경고하신 예언의 말씀대로 되고 말았다.  거기서 모세를 통해 900년 전에 예언된 모든 저주가 그대로 성취된 것이다.  
  
그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1. 자녀들이 포로될 것이다(신 28:32; 애 1:5).
2. 사람들이 예루살렘을 비웃을 것이다(신 28:37; 애 2:15).
3. 부모가 그들의 자녀들을 잡아먹을 것이다(신 28:53, 56, 57; 애 2:20; 4:10).
4. 집들은 외국인들이 차지할 것이다(신 28:30; 애 5:2).
5. 사람들이 기근을 경험할 것이다(신 28:48; 애 5:10).
6. 여인들이 능욕을 당할 것이다(신 28:30; 애 5:11).
7. 노인들이 존경받지 못할 것이다(신 28:26; 애 5:14).

따라서 예레미야애가는 하나님께서 그를 찾는 자에게 성실하시며 사랑하신다는 메시지를 소개하고 있으며(애 3:19-39) 역시 축복과 함께 저주의 언약적 매 약속을 성실하게 책임지신다는 사실을 가르치고 있다(1).
  
그러나 여기서 더 나아가 저자는 진정하게 회개한 백성을 위해서는 시련 후에 회복과 축복의 때가 도래한다고 확신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선하심을 확신하고 있는데 이것은 언약 관계의 확고한 부분이었다.  왜냐하면 바울이 지적한대로(롬 11:1) 하나님의 그의 언약 백성을 온전히 배척하지 않으실 것이기 때문이다(참고, 신 3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레미야 애가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과거의 축복이 우리가 죄에 지속적으로 빠져 있을 때까지도 지속된 것이라는 확신을 할 수 없게 한다. 하나님은 인내하시며 사랑하시므로 누구도 멸망하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벧후 3:9; 딤전 2:4). 그러나 모든 경고를 다 무시한다면 그의 심판밖에 남는 것이 없을 것이다(3).
  
예레미야애가는 오늘 우리에게 시련이 오기 전에 영적 성숙이 필요함을 가르쳐 준다. 또 욥기가 개인적인 고난을 다루고 있다면 애가는 그 용어에서 국민적이고 역사적인 위기를 다루고 있다.  하나님에 관해서는 사랑의 하나님이시면서 역시 공의의 하나님이심을 보여 준다. 구원의 하나님이시면서 역시 심판의 하나님이시다. 더 나아가서 하나님은 말씀하신 대로 시행하시는 성실하시며 전능하신 분이심을 가르쳐 준다.  하나님은 그를 찾는 자녀에게 상을 주시며 범죄한 자녀에게는 징계하신다. 그러므로 범죄한 영혼이 징계와 심판을 피할 수 있는 길은 회개뿐이다.  따라서 애가서는 예루살렘의 멸망을 유다가 마땅히 받아야 할 운명이지만 이 파괴를 유다에게 자초하게 하신 하나님께서는 축복에 대한 필연적인 조건으로서 그의 백성의 확고한 신뢰와 충성을 요구하시는 언약의 하나님이시므로 그 하나님의 신실성에 근거하여 장래에 소망을 기대하게 한다(4).

     주
     1.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 136
     2. R.K. Harrison, Jeremiah & Lamentations(Downers Grove: IVP, 1973), p.202
     3. F.B. Huey, Jr., Jeremiah, Lamentations(Nashville: Broadman, 1993), pp.446-447
     4. Roland K. Harriso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Grand Rapids: Eerdmans, 1979), pp. 1070-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