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는 신약의 신자들에게도 헌금의 표준이 될 수 있는가? |
RevSuh |
2008-08-05 15:32:36 hit: 1,706 |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말 3:10)
십일조는 오늘 대부분의 교회들이 헌금의 규례로 지켜져 오고 있음에도 가장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구약의 십일조가 신약의 헌금 규례로 그대로 적용될 수가 있는가? 더구나 모세의 율법이 규정하고 있는 십일조를 신약의 교회가 그대로 수용할 필요가 있겠는가?
먼저 십일조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고 문제를 풀어가기로 하자.
십일조는 모세의 율법으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며(창 14:17-20) 또 히브리 민족에게만 특별히 있었던 것도 아니다. 십일조는 1/10이란 뜻이며(참고, 겔 45:11, 14) 제사와 정부의 유지를 위해서 소유의 1/10을 드린 것으로 고대 세계에 널리 퍼져 있었다. 예를 들어 가나안 족속, 페니키아 사람들, 아랍인들, 갈대아인들 그리고 리디아 인들이 헬라와 로마 사람들처럼 모두 십일조의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구약에서 십일조는 아브라함(창 14:20)과 야곱(창 28:22)의 역사와 연관이 있으며 모세의 율법에서 성문화되었는데 모든 소산의 십일조는 하나님께 거룩한 것이었다(레 27:30).1)
그러면 십일조가 요구되었던 것들은 무엇이었나?
율법이 규정한 것은 땅의 씨(곡식) 나무의 열매, 그리고 가축이었다(레 27:30-32). 가축의 소유주는 열 마리마다 한 마리를 십일조로 골랐고 그것도 흠이 없는 것이어야 했다(레 27:31-33).
누구에게 십일조를 바쳤나?
십일조는 레위 사람들에게 주었다(민 18:21). 히브리서 7:5에 의하면 십일조는 레위의 후손 중에 제사장직을 맡은 이가 받았다.
히브리 인들은 그들의 십일조를 어디에 드렸나?
일반적으로 예루살렘으로 가져왔으나 거리가 먼 곳에서는 운반이 어려울 경우에 돈으로 바꿔 예루살렘에 가서 다시 가축이나 곡식을 사서 드렸다(신 14:22-27).2)
모세의 율법이 요구한 십일조는 몇 가지였나?
1. 첫 추수 후에 소산의 모든 것 중에 1/10은 하나님의 것이었으며 그들의 부양을 위해 레위 사람들에게 지불했다(레 27:30-32)
2. 이 십일조에서부터 레위 인들은 그 1/10을 제사장들에게 드렸다(민 18:26-28).
3. 두 번째 십일조는 성막에서 레위인과 그들의 가족들이 함께 즐거워하며 먹기 위해 드렸다(신 12:18)
4. 다른 십일조는 가난한자, 과부, 고아를 위해 매 삼년마다 드렸다(신 14:28-29). 그리고 위 말라기 3:10은 특별히 위의 세 십일조에 관한 것이다.3)
신약과 십일조
신약은 십일조에 대해 조금만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마태복음 23:23(눅 11:42)에서 예수님은 율법의 더 중한 것은 무시한 채 엄격하게 십일조만 바쳤던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셨다. 한 바리새인은 죄 많은 세리와 자신을 비교하여 자신의 도덕적인 덕을 자랑하면서 수입의 십일조를 드린다고 하였다(눅 11:12).
다른 십일조에 대한 언급은 히브리서 7:4-10로 아브라함이 전리품 중에 1/10을 멜기세댁에게 드린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 거기서 레위 인들은 백성들로부터 십일조를 받들 수 있도록 율법으로 권한을 부여받았음을 보여준다.
신약의 위의 언급들은 십일조가 구약 시대의 규례임으로 신약 시대에는 필요 없다거나 폐지되었다는 어떤 암시도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예수님께서는 십일조를 마땅히 드려야 할 헌금의 규례로 인정하셨다 고 볼 수 있다.
초기 유대주의와 초대 교회에서 십일조의 시행규례
초기 유대인들과 초대 교회에서는 십일조가 일반화되어 있었다. 초기에 유대주의에서는 곡식이나 포도나 기름 이외에 모든 땅의 소산물을 십일조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채소에 박하나 겨자와 같은 것도 포함되었다. 초대 교회에서는 십일조에 돈을 포함시켰다(Didache 13:7 제1세기 말이나 제2세기 초) 그리고 이때의 특징은 십일조(단수)가 아닌 십일조들이 (복수)였었다. 십일조가 단수로 쓰이는 것은 훨씬 후대 역사에서였다.
역시 초대 교회에서는 구약의 레위 지파가 십일조를 받았듯이 온전히 하나님을 섬기는데 헌신하는 구약의 레위 인같은 성직자(땅을 소유하지 않았듯이 세속 직업이 없는)들은 십일조로 지원 받아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Origen). 따라서 감독들은 구약의 대제사장과 같았고 장로들은 제사장들이요 집사들은 레위인과도 같다고 보았다.
그러면 교부들(the Church fathers)의 글에서 구약의 십일조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
많은 초기 교부나 초기 수도사들의 글에서는 구약의 십일조에 관한 계명들은 예수님의 교훈으로 대치되었다고 보았다. 히브리 인들은 1/10을 주었으나 예수님은 부자 법관에게 그가 소유한 모든 것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주라고 하셨다(마 19:21; 막 10:21; 눅 18:22). 교부 이래니우스(Irenaeus)는 유대 인들은 그들의 소유의 1/10을 그에게 봉헌하도록 의도되었으나 자유를 얻은 자들은 주님의 목적들을 위해서 기쁘게 그리고 아낌없이 드림으로 그들의 모든 소유를 포기해야 한다고 하였다.
물론 이렇게 소유를 전부 다 포기한 이는 드물었고 또 모든 신자들이 실행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신자는 유대 인보다는 더 나아야 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교부 크리소스톰 (Chrysostom)은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신자는 유대인보다 더 못하다고 꾸짖었다.
후기 니케아시대에 십일조의 해석에 대한 입장은 구약의 십일조를 헌금의 규례로 받아들이되 이는 크리스챤들을 위한 헌금의 최소한의 표준으로서였다.4)
그러나 십일조는 구약 시대에 한한 것이므로 신약의 신자들과는 상관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는 이들이 있다.
1. 십일조는 땅의 소산만 바쳤다. 다시 말해서 곡식이나 동물이었다. 이 경우 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었으므로 십일조는 그가 이스라엘 백성으로 하여금 살아 갈 수 있도록 허락하신 그 땅에 대한 소작료였다
2. 십일조는 예배에서 이스라엘을 지도한 레위인과 제사장들에게 그들의 생계를 지원하기 위해 계획된 것이었다
3. 매 삼 년마다 첫 십일조나 둘째 십일조는 과부나 고아나 집 없는 나그네들의 돌봄을 위해서 모아졌고 지역적으로 보관되었다.
이렇게 구약의 십일조는 하나님의 땅을 사용한 자들의 소작료와 같은 것이었으며 선물로 드린 것이므로 의무의 의도가 없고 하나님의 축복을 얻기 위한 공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약 시대 신자들의 헌금의 규례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5)
그러나 이런 주장은 잘못이다. 십일조는 이스라엘 백성의 의무 규정이었다. 따라서 십일조를 하나님께 드리지 않는 것은 나라에 세금을 속이고 내지 않는 것처럼 하나님의 것을 도적하는 행위와 다르지 않았다(말 3:8). 십일조는 모세의 율법의 규정이므로 신약의 신자들은 지킬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잘못이다. 십일조는 모세의 율법 이전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게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그러면 십일조는 신약 시대 신자들의 헌금 표준이나 규례가 될 수 있는가?
그 대답은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만 이 경우 그 헌금의 표준은 그것이 옛 계약 아래 유대인들의 표준이었으므로 신약의 신자들에게는 최소한의 표준일 뿐임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신자는 그의 인색함을 변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6) 온전한 십일조를 드린 성도에게 하늘 문을 열고 복을 쌓을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고 약속하신 하나님은 과연 십일조 하는 개인과 교회와 교단을 축복하셨다. 기독교 실업인들이 그들의 축복의 이유에 대한 간증을 하면서 한결같이 주일성수와 십일조 때문이었다고 입을 모으는 것은 하나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하나님은 진실하시며 약속에 참되시다.
주
1. Pieter A. Verhoef, Haggai and Malachi(Grand Rapids: Eerdmans, 1987), pp.303-304
2. J.G.S.S. Thomas, Tithes(The New Bible Dictionary(London: IVP, 1965), p.1284
3. T V Moore, Haggi and Malachi(London: Banner, 1968), p.159
4.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6(New York: Doubleday, 1992), p.580
5. Larry Richards, Bible Difficulties Solved(Fleming H. Revell, 1993), p.69
6. Beacon Bible Commentary, Vol.5(Kansas City: Beacon, 1966), p.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