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어찌 노아몬보다 낫겠느냐 그는 강들 사이에 있으므로 물이 둘렸으니 바다가 성루가 되었고 바다가 성벽이 되었으며" (나 3:8) 노아몬은 아몬의 도시란 뜻이다. 애굽의 수도 더베(Thebes)는 종종 노로 불렀는데 애굽어로 도시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벌가타역을 위한 나훔서의 번역에서 제롬(Jerome)은 에스겔 30:15에서 동의어 노의 무리라는 신의 이름에 근거한 옛 랍비의 해석을 채택하였다(아민노). 제롬은 나훔 3:8에서 노아민을 KJV에서 많은 무리의 노가된 Populorum No로 번역하였다. 그는 노아몬을 후대 알렉산드리아(Alexan dria)와 동일시하였다.1) 따라서 노아몬은 인물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런데 아몬의 도시라는 언급은 아몬의 신과 특별한 관계가 있었던 더베(Thebes)를 가리키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므로 제롬의 주장처럼 알렉산드리아를 가리킨다는 주장은 크게 설득력이 없다.2) 더베는 현대의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대략 400마일 상에 있는 나일 강에 위치해 있는데 애굽의 상부나 남쪽의 주요 도시를 구성하고 있으며 애굽 문명을 주도하는 중심이었다. 그 곳은 신전들, 방첨탑(Obelisk), 스핑크스 그리고 궁전의 장소이며 세계의 첫 위대한 기념비적인 도시로 기록되어 왔다. 또 서쪽으로 왕들의 장례식 신전들 반대편 나일 강 동쪽 기슭에 럭설(Luxor)과 카낙(Karnak)에 있던 아몬의 거대한 신전들로 인해 더욱 두드러졌다. 더베는 나일 강의 양편 제방에 위치해 있었고 1마일 길이에 1,000피트 넓이의 인공 호수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아멘호텝 Ⅲ(Amenhotep Ⅲ)가 구축한 제방에 대한 증거가 있다. 따라서 더베는 물로 둘러쌓인 도시로 묘사되고 있다. 물론 거기서 바다는 실제의 바다가 아니라 나일강을 가리켰으며(사 18:2; 19:5; 참고, 렘 51:36), 그 물은 자연적으로 벽처럼 외적으로부터 그 도시를 방어해 주었다.3) 이 점에서 그 도시는 니느웨와 매우 흡사하였다. 그러나 그 노아몬은 자연적인 강함, 안전 그리고 동맹에도 불구하고 주전 663년에 정복당했다. 따라서 나훔은 하나님께서 노아몬의 죄들을 심판하셨기 때문에 니느웨도 그의 심판을 피할 줄로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주 1. Ralph L. Smith, Micah-Malachi(Waco: Word, 1984), pp.87-88 2. Bruce Waltke, Micah, the Minor Prophets(Grand Rapids: Baker, 1993), p.819 3. Carl E. Armerding, Nahum, Habakkuk,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4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