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들도 이교도들처럼 묵상하는가?
RevSuh  2008-08-01 19:17:28 hit: 1,765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 자로다"   (시 1:2)

시편 제일편은 사실상 시편 전체의 서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전 편이 경건한 자에 대한 하나님의 축복을 말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복 있는 자는 악인과 대조적인데 그것은 하나님의 율법과 악인의 꾀를 대조함에서 더 분명해 진다.
  
이 본문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다윗이 의인은 주야로 묵상하는 자라고 한데 있다.  그리고 묵상이란 원래 동방의 종교들 예를 들어 우리와 친근한 불교, 유교 그리고 힌두교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기독교인들은 믿기 전 이교도의 묵상에 동참하는 것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먼저 주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한다는 말부터 설명하고 문제를 풀어 보자. 여기서 주의 율법은 단순히 모세의 율법을 가리키지 않는다.  최소한으로 보아 모세의 오경을 가리키지만 그 내용이 담고 있는 복음적인 말씀처럼 율법의 말씀까지를 가리킨다.  이렇게 보면 여기서 율법은 하나님의 말씀과 동의어이다(약 1:7; 왕하 17:8, 13, 21; 시 78:5)(1).
  
따라서 여기 율법은 주로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교훈을 가리키며(2) 하나의 명령으로 제한 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처럼 전체로서 성경으로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3).  이런 교훈들은 하나님께서 삶을 위한 길잡이로 인간에게 주신 것이다(4).
  
그러면 주야로 묵상한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어떻게 밤낮 율법을 묵상하겠나?  그러나 근대에 발견된 사해 사본에서 우리는 본문의 경우를 찾아 볼 수 있다.  거기 이런 구절이 있다.  공동체의 일반 회원들은 매해 읽는 책들과 율법을 연구하고 함께 예배하기 위해 온 밤의 삼분지 일을 깨여 있다(Theodor H. Gaater, The Dead Sea Scriptures in English Translation)(5).
  
실제로 불교와 같은 이교도들을 보라.  주야로 묵상하지 않는가?
이제 그 묵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여기 묵상은 조용하게 중얼거리는 소리로 깊은 명상에 잠긴 사람에 의해 행해진다.
또 동물들의 소리나(사 31:4; 38:14) 신음 소리를 가리키기도 하나(사 16:7) 여기서는 말씀과(시 119:11) 여호와의 완전(시 63:6) 그리고 그의 전능하신 행위를 숙고하는 것이다(시 77:12; 143:5)(6).  따라서 여기 묵상은 의미를 파악함도 없이 습관적으로 반복해서 주문을 외우듯이 하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율법을 열심으로 연구하며 그 의미를 찾으며 그것들을 행하기 위한 목적에서의 묵상이다. 이에 대해 가이슬러(Geisler)는 기독교의 묵상과 이교의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분명하게 밝혔다. 


  크 리 스 챤 동 방 종 교 들
대상 하나님 없음
목적 하나님의 예배 신과 합류
방법 하나님의 계시 인간의 직관
범위(영역) 이성을 통하여 이성을 넘어서
능력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의 능력으로
경험 객관적 실체(사실) 순전히 주관적
직접으로 집중, 전념 긴장을 품, 쉼을 얻은 상태

그러므로 무에 대한 묵상을 하기 위해 마음을 비우는 것과 살아 계신 하나님에 대한 묵상을 하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으로 마음을 채우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점이 있다. 다윗은 무(void)에 대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율법의 말씀에 관해서 묵상하였다. 그의 목적은 야웨 하나님과의 영적인 교제였지 브라만(Brahman)이나 동방 종교들의 타오(Tao)와 신비적 연합이 아니었다. 그 두 묵상의 형태는 아주 다른 것이다(7).

     주
     1. H.C. Leupold, Exposition of Psalms(Grand Rapids: Baker, 1961), p.35
     2. Willem A. Van Gemeren, Psalms, E. B. C. Vol.5(Grand Rapids: Zondervan, 1991), p.54
     3. Derek Kidner, Psalms 1-72(Downers Grove: IVP, 1973), p.48
     4. Peter C. Craigie, Psalms 1-50(Waco: Word, 1983), p.60
     5. Mitchell Dahood, Psalms 1-50(Garden City: Doubleday, 1986), p.3
     6. Willem A. Van Gemeren, Op.cit., p.55
     7. Norman Geisler and Thomas Howe, When Critics Ask(Victor Books, 1992), p.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