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이 그에게 묻기를 네 두 팔 사이에 상처는 어찜이냐 하면 대답하기를 이는 나의 친구의 집에서 받은 상처라 하리라"   (슥 13:6)

위의 두 팔 사이에 상처는 두 손 사이에 상처로 번역하기도 하며 뒤이어 나오는 나의 친구 집에서 받은 상처라는 말 때문에 그리스도에게 적용시키는 학자들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 구절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고난의 상처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 13:1-6까지 나오는 말씀은 그 주제가 거짓 선지자에 대한 심판으로 죄에서 정결케 하시겠다는 말씀이지 결코 메시아의 고난에 대한 말씀이 아니다. 따라서 6절을 그리스도의 고난과 결부시킨다면 주제나 문맥에 따라 해석하는 것이 아니다.  
  
스가랴 당시에 거짓 선지자들은 그들의 거짓된 예언이나 환상을 믿게 하기 위해 위대한 선지자의 모습을 모방하였다.  예를 들어 엘리야는 약대 털옷을 입었었고(왕상 1:8) 그가 승천할 때 엘리사가 대신 입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심판 때 거짓 선지자들은 그들의 거짓이 드러날 것이요 오히려 그 옷을 입고 있는 것이 부끄럽게 될 것이다.
  
여기 두 팔 사이에 상처는 어찜이냐는 말은 문자적으로는 네 두 손 사이에 즉 가슴이든 등이든 간에 그 몸에 라고 번역할 수 있으며(참고, 왕하 9:24) 손들은 팔들을 나타낸다.1)
  
따라서 여기 이는 내 친구의 집에서 받은 상처라 하리란 말씀은 우상 숭배자, 악한 자, 부도덕한 자, 타락한 친구로 남성이나 여성을 가리킨다.2)  그 말이 함축하고 있는 것은 우상 숭배에 동참한 친구나 애인들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3)
  
그리고 그 상처는 가해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거짓 선지자 스스로가 우상 숭배의 황홀한 의식 중에 칼로 스스로를 자해한 것을 가리켰을 것이다(왕상 18:28; 레 19:28; 1:5; 신 14:1; 렘 16:6; 41:5; 48:37).
  
같은 맥락에서 다드(C.H. Dodd)는 스가랴 13:1-6을 후대에 그리스도의 고난과 연관시켰으나 신약과 연관이 없음을 밝혔고 부르스(F.F. Bruce)도 신약의 저자들은 6절을 우리 주님의 못 박히신 상처의 예언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없었다고 하였다.4)
  
그런데 어떤 주석가들 예컨대 칼빈(Calvin), 힛지히(Hitzig), 마우러(Maurer), 아게르만(Ackermann) 등 은 그 상처를 그의 부모에게서 받은 것으로 해석했다. 또 헹스텐버그(Hemgstenberg)나 헨덜슨(Hen- derson)등은 이 구절이 악을 미워하시는 하나님의 열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5)  
  
따라서 바거(Keneth L. Barker)는 이 구절을 메시아에 대한 것으로 보는 견해의 부당성을 이렇게 지적하였다.

1. 그 해석은 주제를 완전히 변경시킴으로 5절과 6절 사이에 부자연스런 단절을 가정한다.
2. 그에게 (6절) 대한 적합한 선행사를 찾기 위해서 그것을 12장 10절까지 간다면 그래서 12:11-13:5를 괄호로 간주하는 것은 자명한 것도 필연적인 것도 아니다.
3. 그에게(6절) 대한 가장 자연스러운 선행사는 그이다(5절).  6절 초두에 혹이 그에게 묻기를 한 것은 확실히 5절 초두에 그가 말하기를에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4. 차라리 7절에 와서 주제의 분명한 변화가 있는데 그 나눔은 6절과 7절이지 5절과 6절이 아님을 가리키고 있다
5. 7절에 인칭의 변화가 있는 것이 그와 같은 것을 가리킨다.
6. 7절에 동사의 명령형으로의 변화가 그와 같은 것을 가리키고 있다.
7. 7절에 문학적 형식이 시적으로 변화된 것도 그와 같은 것을 가리킨다.6)

그러므로 우리는 이 구절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받으신 고난의 상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님을 알수 있다. 이 구절은 거짓 선지자(우상 숭배자)들이 그들의 우상을 숭배하는 의식에서 황홀경에 빠져 광적으로 칼과 창으로 자신들을 찌르므로 생긴 상처에 대한 어리석음을 드러내 주고 있다.

   주
   1. Joyce G. Baldwin, Haggai, Zechariah, Malachi(Downers Grov: IVP, 1972), p.196
   2. Theodore Laetsch, Minor Prophets(St. Louisi: Concordia, 1975), p.487
   3. Joyce. G. Baldwin, Op.cit., p.197
   4. Ralph L. Smith, Micah-Malachi(Waco: Word, 1984), p.281
   5. Thomas V. More, Zecahariah(London: Banner, 1968), p.209
   6. Kenneth L. Barker, Zechariah,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