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있을진저 양 떼를 버린 못된 목자여 칼이 그 팔에, 우편 눈에 임하리니 그 팔이 아주 마르고 그 우편 눈이 아주 어두우리라" (슥 11:17)
이 구절에서 쓸모없는 못된 목자는 목자로서 자격과 기능을 갖추지 못한 자를 가리킨다. 그것은 후반절에 그 팔이 아주 마르고 그 우편 눈이 아주 어둡다고 했기 때문이다. 어리석은 목자는 죽은 자가 아니라 힘의 상징인 오른 팔을 잃은 자요 보고 분별하는 지혜의 상징인 그의 오른 눈이 먼 자이다. 따라서 여기 쓸모없는 목자는 양 떼를 지켜 줄 수 있는 방어력을 상실한 자를 가리킨다.1) 그는 완전히 능력이 마비된 자요 그의 지성이 무가치하게 된 자이다. 팔과 눈이 활동하지 않는 지도자는 싸우는데 무력할 뿐 아니라 그의 원수를 대항해서 싸울 엄두도 낼 수 없다.2)
그러면 무가치한 목자는 누구를 가리켰는가?
여기서 무가치한 목자는 선한 목자와 대조적이다. 스가랴에 의해 상징된 선한 목자는 그리스도이신데 항상 남성 단수로 나온다. 물론 쓸모없는 목자도 여기서는 남성 단수로 나오지만 이 11장에서도 세 번이나 이런 목자들은 복수로 나온다(5, 8, 12절). 따라서 여기서 스가랴는 예레미야와 에스겔처럼 거짓 선지자들과 사악한 지도자들을 가리켰다(렘 23:1, 2, 9-32; 겔 34:1-6).
만일 여기서 스가랴가 쓸모없는 어리석은 목자를 선한 목자이신 그리스도의 상대자로 보았다면 그는 죄의 사람이요 멸망의 자식이요 사악한 자, 적그리스도임이 분명하다(살후 2:3, 8).3)
그런데 적그리스도 역시 하나가 아니라면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누구를 가리켰는가?
다양한 해석이 있다. 대부분의 유대 주석가들은 이 예언이 헤롯 왕에게서 성취되었다고 본다(주전 63-64). 그 이유는 그가 유대인들을 사납게 다뤘기 때문이다. 다른 이들은 마카비 가문을 배반한 대제사장 알키무스(Alcimus, 주전 163-159)라고 본다.4) 그 밖에 주후 132-35년에 로마를 대항한 유대인의 반란을 지도한 바코크바(Bar Kokhba)로 그는 랍비 아키바(Akiba)에 의해 메시아로 환대 받았다.5) 그러나 보다 근래에 종교 개혁자들 특별히 루터(Martin Luther)에 의하면 로마의 교황이었다. 그 이유로 그는 교회의 지도자요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의 대리자로 자처하면서 그 반대로 행하기 때문이다. 교황은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경의 공개,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사역을 통한 은혜의 복음에 대한 그의 확립을 중지시켰다. 그의 오른 눈은 멀었다. 그는 진리를 볼 수 없었다. 역시 그는 거짓과 속임수의 스승이었는데 특별히 마리아의 무흠수태(1854), 도덕과 신앙에 관한 교리에 대한 그의 공적 정의에서 무오하다는 주장(1870 그리고 1951) 그리고 마리아의 승천이 그것이다.6)
물론 이 해석의 문제점이 없지 않으나 종교개혁 당시에 교황들은 여기 나오는 무가치한 목자나 적그리스도의 하나로 활동한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는 이단 재판소를 설치해서 성경의 번역을 막았고 성경을 바로 해석하며 교회의 개혁을 부르짖었던 많은 지도자들을 처형시켰다. 위클립(Wiclif) 허스(Huss) 사보나롤라(Sovonarola) 등 교황과 반대 의견을 지닌 개혁자들이 모두 희생되었다.
이제 마지막으로 무가치한 목자의 운명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여기 17절이 지시하는 심판은 선지자의 순환이 심판의 시작으로 종결된다는 것이다. 심판의 칼이 그 팔과 오른 편 눈에 임한다고 하였으므로 선지자로서 무가치하게 된 것, 버림받게 된 것이 벌써 그 심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그들이 적그리스도를 가리켰다면 마침내 산채로 유황 불못에 던져지고 말 것이다(계 19:20).
주
1. Ralph L. Smith, Micha-Malachi(Waco: Word, 1984), p.272
2. Joyce G. Baldwin, Haggai, Zechariah, Malachi(Downers Grove: IVP, 1972), p.187
3. Theodore Laetsch, Minor Prophets(St. Louis: Concordia, 1975), p.476
4.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176
5. Kenneth L. Baker, Zachariah,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p.679-680
6. Theodore Laetsch, Ibid., p.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