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랴의 활동 시기는 주전 520년부터 크세록세스의 군대가 희랍을 정복해서 복속시키려다 실패한 이후인 주전 480년 이후의 어느 때까지이다.  1-8장의 저술과 9-14장의 저술 사이에 몇 십 년의 공간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이유는 앞부분의 장들은 성전 재건과 그 전체 사업에 수반된 문제들을 다루는데 비해 뒷부분은 유다의 두 번째 왕국의 일들에 포함된 후기 상황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그 초점과 문체상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1)
  
9-13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매우 복잡하고 세련된 문학 형식을 보여 주는 소위 교차 대구법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주제들은 복잡하기는 하지만 매우 정교하게 반복적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또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a. 심판/구원(9:1-8) - b. 왕이 돌아옴(9:9-10) - c. 전쟁/승리(9:11-12) - d. 우상들이 소개됨(10:2-3 상반절) - c1. 전쟁/승리(10:3 하반절-11:3) - b1. 목자가 배척받음(11:4-17). 또다시 c2. 전쟁/승리(12:1-9) - b2. 메시아가 찔리심(12:10-13:1) - d1. 우상이 만연함(13:2-6) - b3. 목자가 침을 당함(13:7-9) - c3. 전쟁/승리(14:1-15) - a1. 심판/구원(14:16-21)이다.2)  
  
그런데 본서의 통일성이나 한 저자 스가랴의 작품임을 부인하는 이론은 코르디(Corrodi)가 1792년 9-14장(Dewtero - Zechariah)은 스가랴보다 훨씬 오랜 후시대에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데서 비롯되었다(대략 주전 3세기).  그 이래로 많은 진보적인 학자들이 그의 이론을 추종하게 되었다(Paulus, Eichhorn, Stade, Cornill, Wellhausen, Eckardt, Cheyne, Kirkpatrick, driver, Kzaeling, Heller. 등).
  
그러면 코르가 1-8장과 9-14장을 다른 저자의 후기 저작으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
9-14장은 문체와 다른 구성상의 특성이 있으며 역사적이고 연대적인 언급이 후대를 가리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반대는 그 해답이 어렵지 않다.  저자가 같은 사람이라도 주제가 바뀌면 그 내용의 변화에 따라 문체가 다를 수 있다.  또 9-14장은 스가랴의 생애 마지막인 그가 죽기 직전에 썼을 수도 있다.  또 역사적이며 연대적인 언급이 페르시아보다 더 강력한 세력이었던 헬라를 지칭하므로(9:13) 스가랴 후시대로 그 저작 시기를 늦게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반박할 수 있다.   물론 9:13의 예언이 그 당대의 상황에 대한 언급은 아니었다.  아마도 마카비와 셀루시드 사이에 전쟁이었을 수 있다.  그러나 예언은 얼마든지 후시대에 있을 사건을 미리 말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설사 헬라가 문제가 되어 후기 저작설을 주장한다면 그것은 얼마든지 반박될 수 있는데 헬라는 스가랴 시대에서까지도 큰 세력이었기 때문이다.3)
  
발드윈(Baldwin)의 주장처럼 여기 9-14장에서 저자가 의도한 것은 더 이상 역사적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차라리 하나님의 장래 목적에 연관된 신학적 진리를 나타내려는 것이었다.  이 책은 역사의 시간에서 종말까지 지역적인데서 우주적으로 진전해 가는 통일성이 있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9-14장의 문체를 문제삼아 본서의 통일성을 부정하는데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

1. 여호와께서 말씀하시기를 스가리야 I에서 14번 나오는데 스가랴 II에서는 6번 나온다(10:12; 12:1, 4; 13:2, 7, 8)
2. 여호와의 눈들 이는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언급으로 스가랴 I에서는 두 번 나오는데(4:10; 8:6),  스가랴 II에서는 한 번 나온다(9:8; 12:4, 네 눈들을 더 할 수도 있다)
3. 하나님의 명칭으로 만군의 여호와가 스가랴 I에서는 세 번 나오는데 스가랴 II에서도 세 번 나온다.
4. 동사 야삽 앉다, 거주한다는 말이 거주한다는 특별한 의미에서 스가랴 I에서는 두 번 나오고 스가랴 II에서도 두 번 나온다.
5. 여기에는 스가랴서 밖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 대구법의 특별한 다섯 구절 형식이 있는데 스가랴 I에서는 한번 나오고 스가랴 II에서는 세 번 나온다(6:13;  9:5, 7; 12:4).4)

따라서 우리는 스가랴 1-8과 9-14장의 통일성을 부인할 이유가 없다.  그 뿐 아니라 저작 연대의 후기 마카비 시대설 역시 예언의 통일성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온 오해라고 보아야 한다.

  주
  1. 글리슨 아처: 성경 난제 백과사전, 황영철역(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p.414
  2. Lowren D. Richards, Richard's Complete Bible Handbook(Dallas: Word, 1987), p.423
  3. Kenneth L. Barker, Zechariah, E.B.C. Vol.7(Grand Rapids: Zondervan, 1985), pp.596-597
  4. Gleason L. Arecher, Jr., A Survey of Old Testament(Chicago, Moody, 1980), p.430